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Original Article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Vol. 40, No. 1, pp.61-75
ISSN: 1229-4128 (Print) 2635-53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3
Received 03 Nov 2022 Revised 04 Jan 2023 Accepted 21 Mar 2023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23.40.1.61

한국 고등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및 관련 요인

박선희*, ; 김정희** ; 백지원***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교수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사
The educational needs of alcohol media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Sunhee Park*, ; Junghee Kim** ; Jiwon Baik***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cience,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Registered Nurse, Department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rrespondence to: Sunhee ParkCollege of Nursing Science,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Republic of Korea주소: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Tel: + 82-2-961-0874, Fax: + 82-2-961-9398, E-mail: spark@khu.ac.kr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a)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needs of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focusing on alcohol media literacy (AML); (b)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for alcohol preven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c)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ed for AML education among students.

Methods

We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rom 118 teachers and 159 students in 2021. For the first and second objectives,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es and t-tests, respectively. For the third objective, we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nly four students reported attending AML education; only two teachers provided AML education to students. Unlike teachers, students did not think that AML education was necessary. Students’ needs for AML educ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household income, drinking experiences, and critical thinking regarding media.

Conclusion

To successfully implement AML education, school settings should be changed favorably for AML education (e.g., developing standardized AML programs and strengthening teachers’ capacity for AML education) and the levels of awareness about AML should be improved. Finally,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t-risk students (e.g., those from lower-income households and those who have drinking experiences)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necessity for AML education.

Keywords:

drinking prevention education, alcohol media literacy, adolescence

Ⅰ. 서론

청소년의 음주율은 청소년 초기에서 후기로 이동할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Masten, Faden, Zucker, & Spear, 2008). 구체적으로, 2019년도 미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에서 12-13세 청소년의 9.0%와 16-17세 청소년의 46.2%가 평생 음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19). 이러한 양상은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2021년도 중학교 1학년생의 평생 음주 경험률은 17.0%인 반면, 고등학교 3학년생의 평생 음주 경험률은 50.8%로 조사되었다(Korea Ministry of Education[KMOE] &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A], 2022). 더 나아가, 청소년기 음주는 우울, 자살, 학업 능력 저하 등의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rding et al., 2016; Komro & Toomey, 2002).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청소년기 음주는 시급한 해결이 요구되는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Alghzawi & Ghanem, 2021; Kim, Yun, & Lee, 2021).

청소년기 음주예방을 위하여, 학교, 가족, 지역사회 수준에서 다양한 중재 전략을 적용해왔음에도 불구하고(Komro & Toomey, 2002),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기 음주율의 감소 폭은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KMOE & KDCA, 2022).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음주예방 전략의 개발을 위해서는 청소년기 음주를 유발하는 주요 관련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하다(Morean, Peterson, & L'Insalata, 2019). 특히, 현대 사회에서 음주를 매력적으로 묘사하는 미디어 메시지가 청소년기 음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헌에서는 청소년이 음주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메시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음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로 음주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Lee, Chung, & Kim, 2012; Redondo, Russell, & Bernal, 2018). 이러한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는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이로 인해 청소년이 긍정적인 음주 메시지에 빈번히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Kim, Bang, Choi, Kim, & Jee, 2022; Lee et al., 2012). 따라서, 긍정적인 음주 메시지에의 노출과 청소년기 음주 위험성 증가와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Jackson & Bartholow, 2020; Redondo et al., 2018), 음주 미디어 메시지에 초점을 맞춘 청소년기 음주예방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나, 긍정적 음주 메시지에 청소년의 노출을 차단하는 방안은 현대 사회가 ‘미디어 포화 사회’임을 고려할 때(Steinberg, Parmar, Richard, & Quail, 2006), 현실적인 방안으로 고려되지 않는다(Page, Piko, Balazs, & Struk, 2011; Song, 2017). 대신, 국외에서는 음주 미디어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메시지에 숨겨진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함양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Chang et al., 2016). 더 나아가, 국외 선행연구에서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함양이 청소년기 음주 특성의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Chang et al., 2016; Kheokao, Kirkgulthorn, Yingrengreung, & Singhprapai, 2013; Rodgers, Hust, Willoughby, Wheeler, & Li, 2019; Scull, Kupersmidt, & Erausquin, 2014). 예를 들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대만 청소년은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 의도 및 현재 음주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Kheokao et al., 2013). 또한, 국외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Banerjee, Greene, Magsamen-Conrad, Elek, & Hecht, 2015; Chen, 2013; Gordon, Howard, Jones, & Kervin, 2016; Kupersmidt, Scull, & Benson, 2012). 예를 들어, 호주에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교육에 참여한 학생의 미디어 메시지 분석 기술과 메시지의 설득 의도에 대한 이해 수준이 증가하였다(Gordon et al., 2016).

이처럼 국외에서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음주예방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성, 온라인 괴롭힘 및 흡연을 주제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시행 및 효과 평가가 이루어졌으나(Kim, 2021; Kim, Kim, & Choi, 2020; Lee, Jung, & Han, 2017), 청소년기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부재한 실정이다. Hur (2014)는 국내 미디어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비정기적인 일회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대신 미디어 만들기 교육에 치중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한다(Hur, 2014). 따라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음주 수준이 높음과 이들이 긍정적인 음주 메시지에 빈번히 노출됨을 고려할 때(Kim et al., 2022; KMOE & KDCA, 2022; Lee et al., 2012), 청소년 대상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시행이 시급하다.

음주예방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교육 시행 전 대상자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Jung, Lee, & Kim, 2003). 더 나아가, 교육대상자의 건강문제 및 관련 요인 파악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수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 상황을 반영하는 요구도 조사의 시행이 반드시 필요하다(Hodges & Videto, 2011).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약물남용예방 또는 음주예방’ 교육 요구도를 조사한 2개의 선행연구 모두 2003년에 시행되어 현재 청소년의 음주예방교육 요구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Jung et al., 2003; Song et al., 2003). 또한, 국외에서는 학생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건강증진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St. Leger, 1998).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학생 건강문제 해결 및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학생 건강 관련 구성요소의 연계를 강조하며, 학생 건강증진 활동에 모든 교사가 참여하여 협력하도록 하고 있다(KMOE, 2019;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22). 예를 들어, 강원도교육청에서는 학생 음주예방을 위해서 보건교사, 상담교사, 담임교사 등이 함께 협력하도록 하고 있다(Gangwon-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20). 이러한 학교 현장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사의 요구도 또한 파악할 필요가 있다(St. Leger, 1998).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대상 음주예방교육 현황,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수준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주예방교육 현황을 분석한다.

둘째,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다른 음주예방교육 영역과 함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한다.

셋째,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관련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단면 조사 방법을 이용한 기술적 연구(descriptive study)와 상관관계 연구(correlational study) 설계를 이용하였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이다. 먼저, 연구자의 접근이 가능한 학교의 학교장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학교장이 연구 수행을 승인한 경우, 연구 대상 학교로 최종 선정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연구대상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과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편의 표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학생 표본 수는 다중회귀분석에 요구되는 표본 수 기준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Abu-Bader, 2010, 2011). 구체적으로, 11개의 독립변수, 검정력 0.8, 양측 검정 유의수준 0.05 및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138명을 산출한 후, 불성실한 응답으로 인한 대상자의 탈락 가능성을 고려하여 159명으로 선정하였다. 159명의 학생은 서울시, 경기도,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하는 6개 고등학교에서 추출하였으며, 성별 및 학년의 고른 분포를 고려한 후 각 학교에서 10명~66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 표본 수는 기술적 연구에 필요한 최소 표본 수인 100명과 불성실한 응답으로 인한 대상자의 탈락 가능성을 고려하여 118명으로 최종 선정하였다(Fraenkel, Wallen, & Hyun, 2011). 본 연구의 교사 표본은 서울시,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지역에 소재하는 9개 고등학교에서 추출하였으며, 성별의 고른 분포를 고려한 후 각 학교에서 10명~15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3. 연구 도구

선행연구와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사용된 연구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본 연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Korea Commission on Youth Protection, 2004;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6; KMOE et al., 2018; Lee & Park, 2016; Song et al., 2003; Yu et al., 2017). 본 연구진이 개발한 설문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청소년 건강증진 및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 3인, 보건교사 1인, 일반교사 1인으로 구성된 자문위원으로부터 설문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한 후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1) 연구 대상자 특성

학생과 교사에게 공통적으로 성별(남, 여), 연속변수로 측정한 연령, 고등학교 유형(일반계고, 특성화고), 대상자의 학교 소재지(서울, 중소도시, 읍면지역)를 조사하였다. 학생에게 추가로 조사한 특성은 학년(1, 2, 3학년), 주관적으로 인식한 가구 경제 수준(상, 중, 하), 연간 음주 여부(예, 아니오), 지난 30일간 음주 메시지에 노출된 매체 수 및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었다. 연간 음주는 지난 1년 동안 표준잔 1잔 이상의 음주 여부로 측정하였으며, 음주 메시지에 노출된 매체 수는 12개 매체(TV, 인터넷 방송,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라디오 등) 중 지난 30일 동안 긍정적인 음주 메시지에 ‘때때로, 자주 또는 항상’의 빈도로 노출된 매체의 숫자를 의미한다. 미디어 메시지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및 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은 16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Ahn, Kim, Park, & Lim, 2009). 각 문항에 대한 동의 수준을 ‘매우 동의하지 않음’부터 ‘매우 동의함’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한 후 16개 문항의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Cronbach’s alpha=.80), 평균값이 높을수록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교사에게 추가로 조사한 특성은 년 단위로 측정한 총 교직 경력과 현재 학교에서의 근무 기간, 교사 유형(교과, 비교과, 특수) 및 최종 학력(학사, 석사 이상)이었다.

2) 음주예방교육 특성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 음주예방교육 참여 경험(예, 아니오)을 조사한 후,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담당 강사(보건교사, 교과교사, 상담교사, 외부강사), 교육 방법(강의, 캠페인, 동영상), 지난 1년간 교육 참여 횟수 및 1회 평균 참여 시간, 교육이 시행된 수업 유형(정규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보건 선택 교과) 및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만족도는 ‘전혀 만족하지 않음’부터 ‘매우 만족함’까지의 4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에 만족함을 의미한다. 교육 담당 강사와 교육 방법은 복수응답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학생과 교사 표본을 대상으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인식 여부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교사에게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시행 경험과 향후 참여 의도를 조사하였으며, 학생에게는 참여 경험과 향후 참여 의도를 조사하였다.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는 ‘전혀 중요하지 않음’부터 ‘매우 중요함’까지의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나머지 세 변수는 ‘예 또는 아니오’로 측정하였다.

3) 영역별 음주예방교육 요구도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제작한 ‘청소년 음주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6개 음주예방교육 영역을 선정하였다(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6). 음주와 관련된 미디어 메시지의 올바른 이해를 의미하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 본 연구에서 조사한 나머지 5개 음주예방교육 영역은 음주에 대한 올바른 기대 형성, 술이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음주예방을 위한 국내ㆍ외 법과 제도, 음주에 대한 사회적 압력의 개념 및 이에 대한 대처, 술과 관련된 법과 규제이다. 술과 관련된 법과 규제의 예로는 주류 판매, 술 광고, 음주와 관련된 교통안전이 있다. 각 교육 영역의 요구도는 1개 문항을 이용하여 ‘매우 불필요함’부터 ‘매우 필요함’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4.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1) 자료수집

본 연구는 대상자 학교에서 대면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21년 6월 10일에 자료수집을 시작한 후 학생과 교사 대상의 자료수집을 각각 2021년 7월 16일과 7월 14일에 완료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상자는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로부터 보다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의 주요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설문지에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TV나 영화 속 음주 장면과 같은 술 광고나 음주 관련 미디어 메시지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분석ㆍ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설문지에 제시한 후, 음주 미디어 리러터시 교육에 대한 대상자의 중요도와 요구도를 조사하였다(REAL Prevention, 2019).

2) 분석 방법

STATA(version 15)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의 특성, 음주예방교육 시행/참여 현황 및 영역별 음주예방교육 요구도 파악을 위해, 빈도 또는 평균과 같은 기술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Mukherjee, Sinha, & Chattopadhyay, 2018). 둘째, 학생과 교사 간 음주예방교육 영역별 요구도 수준의 유의한 차이 여부 파악을 위해, t-test 분석을 시행하였다(Mukherjee et al., 2018).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와 중요한 연관성이 있는 요인의 파악을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Mukherjee et al., 2018). 종속변수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를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교 유형, 학년, 주관적 가구 경제 수준), 음주 행위, 음주 메시지를 접한 매체 수, 음주예방교육 참여 경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인식 여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이용하였다. 정확한 결과 도출에 필요한 논리적 분석 순서에 근거하여, 단순 선형 회귀분석 시행 후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Jekel, 2007; Xuan, Williams, & Peat, 2020). 또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시행 전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5. 윤리적 고려 사항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 연구 수행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KHSIRB-20-094[NA]). 본 연구의 대상자에게 연구목적, 연구내용, 연구에서 취득된 정보의 비밀 유지 및 연구 도중 언제든 연구 참여 철회가 가능함을 설명한 후, 대상자로부터 연구 참여에 대하여 자발적 서면동의를 받았다. 특히, 고등학생은 연구 취약계층에 해당하므로,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보호자(부모)의 서면동의도 함께 받았다. 설문 응답을 완료한 연구 대상자에게는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답례품을 지급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 특성

전체 학생 중 약 73명(45.91%)이 남자였으며, 학생의 평균 연령은 16.64세였다<Table 1>. 106명(66.67%)의 학생이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으며, 116명(72.96%)의 학생이 중소도시에 위치한 학교에 재학하고 있었다. 74.85%의 학생이 1학년과 2학년이었으며, 52.94%의 학생이 가구 경제수준을 ‘중’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27.59%의 학생이 지난 1년 동안 표준잔 1잔 이상의 술을 마신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학생이 지난 30일 동안 긍정적인 음주 메시지를 접한 매체의 평균 수는 3.58개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수준은 ‘보통’ 수준보다는 높으나, ‘높음’ 수준보다는 낮았다(3.74점).

Sample characteristics

전체 교사 중 54명(45.76%)이 남자였으며, 교사의 평균 연령은 41.87세였다. 78명(66.10%)의 교사가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이었으며, 48명(40.68%)의 교사가 서울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직 중이었다. 총 교직 경력은 약 15년이었으며, 현재 학교에서의 평균 재직 기간은 약 4년이었다. 마지막으로, 106명(90.60%)의 교사는 교과교사였으며, 74명(62.71%)의 최종 학력은 학사였다.

2. 음주예방교육 현황 분석

지난 1년 동안 학교에서 음주예방교육을 받은 학생은 48명(32.65%)이었으며, 교육을 받은 학생 중 27명(61.36%)이 음주예방교육을 외부강사로부터 받았다고 응답하였다<Table 2>. 학생은 강의 방법을 활용한 교육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88.64%), 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음주예방교육을 받았다(83.33%). 학생이 지난 1년간 받은 음주예방교육의 평균 횟수는 1.5회였으며, 1회 평균 교육시간은 약 50분이었다. 학생의 음주예방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2.8점이었으며, 이는 학생이 경험한 음주예방교육에 대해 불만족함을 의미한다.

Provision/Attendance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전체 학생 중 7명(4.61%)만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미를 안다고 응답하였으며, 학생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를 ‘중요함’ 수준보다 낮게 평가했다(3.54점).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4명(3.25%)에 불과하였으며, 향후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학생은 105명(66.04%)이었다.

전체 교사 중 30명(26.09%)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를 안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를 ‘중요함’ 수준보다 높게 평가했다(4.18점).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시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2명(1.80%)이었으며, 105명(88.98%)의 교사가 향후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를 학생에게 교육할 의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학생 표본에 비해, 교사 표본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t=-7.17, p<.001). 또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할 의도가 있는 학생의 숫자에 비해, 이에 대한 교육을 시행할 의도가 있는 교사의 숫자가 유의하게 많았다(χ2=19.45, p<.001).

3. 영역별 음주예방교육 요구도

학생 표본에서는 ‘술이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교육 요구도가 4.13점으로 가장 높았고, ‘술과 관련된 법과 규제’의 교육 요구도가 4.00점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Table 3>. 학생은 6개 영역 중 위의 2개 영역에서만 교육이 ‘필요함’ 수준으로 응답하였다. 반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학생의 요구도는 다섯 번째 순위를 차지했으며(3.73점), 이에 대한 요구도는 ‘필요함’ 수준보다 낮았다.

Educational needs for alcohol prevention topics

학생과 마찬가지로, 교사 표본에서도 ‘술이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4.55점), ‘술과 관련된 법과 규제’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두 번째로 높았다(4.50점). 그러나, 학생과는 달리, 교사 표본에서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가 세 번째로 높았다(4.33점). 또한, 교사는 모든 교육 영역의 요구도를 ‘필요함’ 수준 이상으로 평가했으며, ‘청소년의 음주예방을 위한 국내ㆍ외 법과 제도’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영역에서 교사의 요구도가 학생의 요구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관련 요인

단순 선형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으로 인식한 가구 경제 수준과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Table 4>. 다른 변수들의 효과를 통제한 다중 선형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주관적으로 인식한 가구 경제 수준, 연간 음주 행위 및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구체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한 가구 경제 수준이 ‘상’인 학생에 비해 ‘중’인 학생의 경우,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가 0.32점 낮았다(B=-0.32, p=.046). 또한, 지난 1년간 음주 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의 교육 요구도가 0.4점 낮았다(B=-0.40, p=.040). 마지막으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1점 증가되면,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점수가 0.48점 증가되었다(B=0.48, p=.009).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alcohol media literacy(n=159)


Ⅳ. 논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건강위험행위를 대상으로 적용하는 반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일 건강위험행위인 음주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미디어 리터러시를 적용한다(Brown, MacDonald, & Murphy, 2017).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국내ㆍ외 연구의 부재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까지 문헌의 범위를 넓혀 고찰 후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1.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 분석

본 연구에서 4명의 학생과 2명의 교사만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 또는 시행 경험이 있으며, 약 95%의 학생과 약 74%의 교사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를 모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 ‘청소년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을 파악한 국내 선행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에서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대다수의 학생과 교사가 미디어 교육을 정보 보호, 동영상 제작 등의 교육으로 여기고 있다고 설명한다(Bai, 2021). 또 다른 국내 연구에서도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교사 또는 강사 188명 중 약 65%가 학교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Jin, Kim, Park, & Choi, 2020), 청소년은 자신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Bai & Lee, 2014).

선행 연구는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시행을 위해서는 학교의 역할이 중요함을 일관되게 강조하며(Bai, 2021; Jin et al., 2020), 학교 현장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외부 강사가 음주예방교육을 시행했으며, 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강의 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19년에 조사된 중ㆍ고등학교 흡연예방교육 실태와도 일치한다(Park, Kim, & Min, 2019).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 음주예방교육의 주된 교육방법이 ‘강의와 시청각 교육’이라고 보고한 2003년 연구와도 유사하며(Song et al., 2003), 이는 약 20년이 지난 현재 학교 현장에서 교육방법의 발전적인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뿐만 아니라 2019년 선행 연구도 학생은 본인이 받은 흡연예방교육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et al., 2019).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적극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학교에서는 분절적이고 제한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제공되고 있으며, 교사는 교육과정 개발의 어려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혼란 등의 이유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시행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Byeon & Park, 2021; Jin et al., 2020). 또 다른 연구에서도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가 ‘체계적 교육과정의 부족, 안정적인 교육환경의 부족, 연수 기회의 부족, 교육자의 전문성 부족’이라고 공통적으로 설명한다(Bai & Lee, 2014; Jin et al., 2020). 실제, 국내 선행 연구에서 미디어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이해 수준이 100점 만점에 61.7점으로 나타나, 그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Bai & Lee, 2014).

2.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 및 요구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교사와는 달리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중요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약 66%만이 향후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할 의도가 있었으며, 이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육할 의도가 있다고 응답한 교사의 백분율보다 낮았다. 또한, 교사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수준을 ‘필요함’ 수준 이상으로 응답한 것과는 달리, 학생의 요구도는 ‘보통’ 수준 보다는 높지만 ‘필요함’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교사에 비해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중요도 및 요구도 수준이 낮게 나타난 본 연구 결과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교사, 학부모 및 미디어 전문가는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반면(Bai & Lee, 2014; Jin et al., 2020), 학생은 다양한 미디어 교육 주제 중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 수준을 가장 낮게 평가했다(Hur, 2014). Jin 등 (2020)의 연구에 근거할 때, 본 연구에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학생의 중요도와 요구도 수준이 낮은 것은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 인식 수준이 낮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Jin 등 (2020)은 학부모와 교강사를 대상으로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해’ 간 연관성을 분석한 후,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교육이 필요없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정의 인식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다고 보고했다. 이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학생 중 7명(4.61%)만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많이 인식하고 있었던 교사 표본에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와 요구도 수준이 학생 표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 외에,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참여 의도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 인식 여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Jin et al., 2020). 본 연구에서 66.04%의 학생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할 의도가 있다고 응답한 반면, 2014년 선행연구에서는 9.40%의 중ㆍ고등학생만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Hur, 2014). 실제, 본 연구는 자료 수집 시 ‘미디어 리터러시’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명확히 제시한 반면, Hur (2014) 연구에서는 정의를 제시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관련 요인

다른 변수의 효과를 통제한 후, 본 연구는 학생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 음주 경험이 있는 경우, 또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낮은 경우에는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가구 경제 수준을 ‘상’으로 인식한 학생에 비해, ‘중’으로 인식한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요구도가 낮았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선행연구는 가구 수입이 낮은 청소년 집단에서 ‘미디어 교육에 참여한 경험’과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의 참여 의도’ 수준이 낮음을 보고한다(Hur, 2014). 이와 유사하게, 국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또한 낮다고 설명한다(Okan, Rowlands, Sykes, & Wills, 2020). 덴마크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에서도 교육수준이 낮고 수입이 적을수록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Svendsen et al., 2020). Svendsen 등 (2020)은 이와 같은 연관성이 존재하는 원인은 현재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의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가구 경제 수준을 ‘상’으로 인식한 학생에 비해, ‘하’로 인식한 학생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요구도 간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경제 수준과 음주 미디러 리터러시 요구도 간 관계를 추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연간 음주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가 낮았다. 두 특성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의 부재로 인하여 직접적 비교는 어렵지만, 본 연구 결과는 음주를 ‘즐거운 시간’처럼 긍정적 특성으로 묘사하는 메시지에의 노출, 음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음주행위 간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Chen, Grube, Bersamin, Waiters, & Keefe, 2005; Gentile, Arterberry, Bender, & Costabile, 2019; Peterborough County-City Health Unit & The Central East Tobacco Control Area Network, 2011). 구체적으로, Gentile 등 (2019)은 음주를 매력적으로 묘사하는 메시지에 노출된 청소년은 음주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음주를 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반면, Chen 등 (2005)은 빈번히 술을 마시는 아동과 청소년일수록 주류 광고를 더 매력적으로 여기며, 음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음주를 경험한 학생은 음주 미디어 메시지를 매력적으로 여기고 음주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음주를 매력적으로 묘사하는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비판적 사고 능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심이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본 연구에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낮은 학생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과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간 연관성을 연구한 선행 연구의 부재로 직접적 비교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 능력의 정의가 ‘미디어 메시지가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수용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Scheibe & Rogow, 2011),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사고 능력이 낮은 학생은 미디어 메시지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고, 메시지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능력 또한 낮음을 유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사고 능력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적인 필수 요소임을 고려할 때(Ahn et al., 2009; Gordon et al., 2016), 미디어 메시지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능력이 낮은 학생은 음주 메시지가 미치는 영향을 알고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수준 또한 낮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인식 여부와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 간 연관성이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두 특성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인식 여부’에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대부분이 ‘모름’으로 응답한 것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학생 중 약 95%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여부’에 ‘모름’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에서는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변수에 대한 대상자의 응답이 모두 동일하면 두 변수 간 관계를 규명할 수 없다고 설명한다(Brink & Wood, 2001; Stern, 2004). 예를 들어, 성별 변수에서 모든 대상자가 남자라고 응답한 경우 성별과의 연관성 분석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성별’ 변수의 변이(variation)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측정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인식 여부’ 변수의 변이가 거의 없음으로 인하여, 종속변수인 교육 요구도와의 관계가 실제 연관성을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세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단면 조사연구 방법의 이용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관련 요인과의 관계는 인과관계로 해석할 수 없다(National Research Council, 2003). 둘째, 표본 추출 시 편의 표출 방법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고등학생 모집단에게 일반화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Schwab, 2013).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일부 변수의 측정 시 1개 문항의 이용과 자기 보고식 설문지에 기반한 자료 수집으로 인하여, 수집된 자료의 측정오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Podsakoff, MacKenzie, Lee, & Podsakoff, 2003).


Ⅴ. 결론

본 연구와 선행 연구에 근거할 때, 청소년기 음주예방을 위하여 학교 기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가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음주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육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Brown et al., 2017), 다음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전략을 음주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학교를 기반으로 하는 교과연계형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시행을 위하여 학교 현장의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미디어 교육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동영상, 게임, 웹툰 등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공유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교수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Bai, 2021; Bai & Lee, 2014; Jin et al., 2020). 둘째,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도와 요구도 향상을 위해, 이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문헌에서는 캠페인, 홍보, 교육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및 일반 시민이 청소년기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Bai & Lee, 2014; Byeon & Park, 2021; Jin et al., 2020). 예를 들어, 핀란드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목적으로 매년 2,000개의 단체가 참여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media literacy week)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Salomaa, 2020). 또한, Hur (2014)는 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에게 ‘미디어에 대한 분석 및 비판’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흥미 유발 등의 별도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가구 경제 수준이 낮은 학생,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 또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낮은 학생은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낮고, 이러한 특성을 지닌 학생은 음주를 매력적으로 묘사하는 메시지에 노출되는 경우 음주 고위험군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고려할 때(Chen et al., 2005; Gentile et al., 2019), 이들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도 및 필요도 향상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학교 기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재함에 따라,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파악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 요구도 및 관련 요인에 대해 반복연구를 통해 시급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인식’과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파악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관련 중요 요인이 후속 연구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조사 시 문헌에서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와 중요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는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본 연구에서 일부 더미변수만 유의했던 ‘경제 수준’과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Jin et al., 2020).

음주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후속 연구 시행 시, 보다 정확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다음의 연구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 모집단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대표성 있는 표본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대상자가 정직하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응답의 익명성 보장과 응답에는 옳고 그름이 없음을 명확히 안내하여,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Podsakoff et al., 2003). 마지막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측정 도구의 사용이 필요하다(Gravetter & Forzano, 2020).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9R1A2C1088651).

References

  • Abu-Bader, S. H. (2010). Advanced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Abu-Bader, S. H. (2011). Using statistical methods in social science research: With a complete SPSS guide.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Ahn, J., Kim, Y., Park, S., & Lim, S. (2009). Testing the effect of media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media literacy index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 Alghzawi, H. M., & Ghanem, F. K. (2021). Social ecological model and underage drinking: A theoretical review and evaluation. Psychology, 12(5), 817-828. [https://doi.org/10.4236/psych.2021.125050]
  • Bai, S. (202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support system (Korean, authors’ translation). Monthly Public Policy, 193, 55-57.
  • Bai, S., & Lee, J. (2014).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edia education for youth in the digital age.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Banerjee, S. C., Greene, K., Magsamen-Conrad, K., Elek, E., & Hecht, M. L. (2015).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utcomes of a media literacy alcohol prevention curriculum. Translational Behavioral Medicine, 5(4), 425-432. [https://doi.org/10.1007/s13142-015-0329-9]
  • Brink, P. J., & Wood, M. J. (2001). Basic steps in planning nursing research: From question to proposal.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 Brown, R., MacDonald, S., & Murphy, S. (2017). A review of alcohol media literacy interventions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a UK context. London: Alcohol Research UK.
  • Byeon, S., & Park, J. (2021). A study on the analysis of teachers' media literacy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activation of school media education (Korean, authors’ translation). Cheongju: Chungcheongbuk-Do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 Chang, F., Miao, N., Lee, C., Chen, P., Chiu, C., & Lee, S. (2016). The association of media exposure and media literacy with adolescent alcohol and tobacco use.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4), 513-525. [https://doi.org/10.1177/1359105314530451]
  • Chen, M.-J., Grube, J. W., Bersamin, M., Waiters, E., & Keefe, D. B. (2005). Alcohol advertising: What makes it attractive to youth?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0(6), 553-565. [https://doi.org/10.1080/10810730500228904]
  • Chen, Y.-C. (2013).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approaches to media literacy in modifying adolescents’ responses to alcohol.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8(6), 723-739. [https://doi.org/10.1080/10810730.2012.757387]
  • Fraenkel, J. R., Wallen, N. E., & Hyun, H. H. (2011).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New York, NY: McGraw-hill Education.
  • Gangwon-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20). 2020 School smoking and alcohol prevention plan (Korean, authors’ translation). Gangwon-do: Gangwon-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Gentile, D. A., Arterberry, B. J., Bender, P. K., & Costabile, K. A. (2019). Beer advertisements and adolescent drinking knowledge, expectancies, and behavior. Addictive Behaviors Reports, 10, 100226. [https://doi.org/10.1016/j.abrep.2019.100226]
  • Gordon, C. S., Howard, S. J., Jones, S. C., & Kervin, L. K. (2016). Evaluation of an Australian alcohol media literacy program.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77(6), 950-957. [https://doi.org/10.15288/jsad.2016.77.950]
  • Gravetter, F. J., & Forzano, L. A. B. (2020). Research method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Boston, MA: Cengage Learning.
  • Harding, F. M., Hingson, R. W., Klitzner, M., Mosher, J. F., Brown, J., Vincent, R. M., . . . Cannon, C. L. (2016). Underage drinking: A review of trends and prevention strategi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51(4), S148-S157. [https://doi.org/10.1016/j.amepre.2016.05.020]
  • Hodges, B., & Videto, D. M. (2011). Assessment and planning in health programs. Sudbury, MA: Jones & Bartlett Learning.
  • Hur, Y.-J. (2014). Directions of media literacy curriculum organization of teenagers: Research on actual media curriculum conditions and needs. Korean Education Inquiry, 32(1), 23-47.
  • Jackson, K. M., & Bartholow, B. D. (2020). Psychological processes underlying effects of alcohol marketing on youth drink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Supplement(s19), 81-96. [https://doi.org/10.15288/jsads.2020.s19.81]
  • Jekel, J. F. (2007). Epidemiology, biostatistics, and preventive medicine (3r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 Elsevier.
  • Jin, M., Kim, B.-Y., Park, Y. S., & Choi, S. (2020). Convergent approach to media literacy education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 Jung, H.-M., Lee, H.-Z., & Kim, Y.-H. (2003). The needs on the drug free education in adolesc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9(1), 57-65.
  • Kheokao, J. K., Kirkgulthorn, T., Yingrengreung, S., & Singhprapai, P. (2013). Effects of school, family and alcohol marketing communication on alcohol use and intentions to drink among Thai students.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44(4), 718-726.
  • Kim, S. (202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edia literacy-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 Kim, S., Yun, M., & Lee, G. (2021). Alcohol volume consumption and drinking frequ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ocial alcohol drinking suppli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11), 565-575.
  • Kim, Y., Bang, H., Choi, S., Kim, H., & Jee, S. (2022). Association between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and drinking patterns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9, 41-57. [https://doi.org/10.14367/kjhep.2022.39.1.41]
  • Kim, Y., Kim, C., & Choi, E. (2020). The effect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literacy o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7(7), 237-256. [https://doi.org/10.21509/KJYS.2020.07.27.7.237]
  • Komro, K. A., & Toomey, T. L. (2002). Strategies to prevent underage drinking. Alcohol Research & Health, 26(1), 5-14.
  • Korea Commission on Youth Protection. (2004). A study on the survey and improvements of alcohol use among adolescents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oul: Author.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6).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oul: Author.
  • Korea Minister of Education. (2019). The 1st student health promotion plan 2019-2023 (Korean, authors’ translation).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77058
  • Korea Ministry of Educatio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8). The 14th(2018)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Korea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The 17th(202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Osong: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Kupersmidt, J. B., Scull, T. M., & Benson, J. W. (2012). Improving media message interpretation processing skills to promote healthy decision making about substance use: The effects of the middle school media ready curriculum.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7(5), 546-563. [https://doi.org/10.1080/10810730.2011.635769]
  • Lee, J.-H., & Park, H.-A. (2016). Survey study of current status of and need for mental health education enhancing protective factors in the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7(1), 9-20.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1.9]
  • Lee, J., Chung, S., & Kim, J. (2012).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and drinking intentions of nondrink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4), 289-318.
  • Lee, S., Jung, H., & Han, H. (2017).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cyberbullying in Korean youth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5(2), 107-134.
  • Masten, A. S., Faden, V. B., Zucker, R. A., & Spear, L. P. (2008). Underage drinking: A developmental framework. Pediatrics, 121(Supplement_4), S235-S251. [https://doi.org/10.1542/peds.2007-2243A]
  • Morean, M. E., Peterson, J., & L'Insalata, A. (2019). Predictors of quickly progressing from initiating alcohol use to engaging in binge drinking among adolescents. Addictive Behaviors Reports, 9, 100165. [https://doi.org/10.1016/j.abrep.2019.100165]
  • Mukherjee, S. P., Sinha, B. K., & Chattopadhyay, A. K. (2018). Statistical methods in social science research. Singapore: Springer Nature Singapore.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3). Elder mistreatment: Abuse, neglect, and exploitation in an aging America.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Okan, O., Rowlands, G., Sykes, S., & Wills, J. (2020). Shaping alcohol health literacy: A systematic concept analysis and review. Health Literacy Research and Practice, 4(1), e3-e20. [https://doi.org/10.3928/24748307-20191104-01]
  • Page, R. M., Piko, B. F., Balazs, M. A., & Struk, T. (2011). Media literacy and cigarette smoking in Hungarian adolescents. Health Education Journal, 70(4), 446-457. [https://doi.org/10.1177/0017896910379692]
  • Park, S., Kim, J., & Min, S. (2019).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Focusing on smoking media literacy education. Nursing and Health Issues, 24(2), 133-145.
  • Peterborough County-City Health Unit, & The Central East Tobacco Control Area Network. (2011). iTHINK: A critical thinking and media literacy manual. Retrieved from https://www.simcoemuskokahealth.org/docs/default-source/jfy-schools/iTHINK_Manual_Final.pdf?sfvrsn=0
  •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Y., & Podsakoff, N. P.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903.
  • REAL Prevention. (2019). What is alcohol media literacy and how can it help prevent alcohol abuse? Retrieved from https://real-prevention.com/what-is-alcohol-media-literacy-and-how-can-it-help-prevent-alcohol-abuse/
  • Redondo, I., Russell, C. A., & Bernal, J. (2018). To brand or not to brand a product placement? Evidence from a field study of two influence mechanisms of positive portrayals of alcohol in film. Drug and Alcohol Review, 37, S366-S374. [https://doi.org/10.1111/dar.12671]
  • Rodgers, K. B., Hust, S. J. T., Willoughby, J. F., Wheeler, J., & Li, J. (2019). Adolescents’sex-related alcohol expectancies and alcohol advertisements in magazines: The role of wishful identification, realism, and beliefs about women’s enjoyment of sexualiz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4(4), 395-404. [https://doi.org/10.1080/10810730.2019.1630523]
  • Salomaa, S. (2020). Media education emphasizing cooperation in Finland (Korean, authors’ translation). Media Literacy, 12, 96-100.
  • Scheibe, C., & Rogow, F. (2011). The teacher’s guide to media literacy: Critical thinking in a multimedia worl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Schwab, D. P. (2013). Research methods for organizational studies. New York, NY: Routledge.
  • Scull, T. M., Kupersmidt, J. B., & Erausquin, J. T. (2014). The impact of media-related cognitions on children’s substance use outcomes in the context of parental and peer substance us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3(5), 717-728. [https://doi.org/10.1007/s10964-013-0012-8]
  •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22). 2022 Health education and student health promotion plan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oul: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Song, G., Kim, N., Yang, S., Park, H., Lee, S., & Yu, S. (2003). Teachers` drinking aspects and their recognition, attitude about alcohol use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1), 65-75.
  • Song, S. (2017). Trends in alcohol advertisement and suggestions on regulatory strategies. Weekly Issue 32, 1-8.
  • St. Leger, L. (1998). Australian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 concept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3(3), 223-235. [https://doi.org/10.1093/heapro/13.3.223]
  • Steinberg, S. R., Parmar, P., Richard, B., & Quail, C. (2006). Contemporary youth culture: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Westport, CT: Greenwood Press.
  • Stern, R. (2004). Good statistical practice for natural resources research. Cambridge, MA: CABI Publishing.
  •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19).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Table 2.6B—Alcohol use in lifetime, past year, and past month among persons aged 12 or older, by detailed age category: Percentages, 2002-2019. Retrieved from https://www.niaaa.nih.gov/sites/default/files/publications/NIAAA_Underage_Drinking_1.pdf
  • Svendsen, M. T., Bak, C. K., Sørensen, K., Pelikan, J., Riddersholm, S. J., Skals, R. K., . . . Nielsen, G. (2020). Associations of health literacy with socioeconomic position, health risk behavior, and health status: A large national population-based survey among Danish adults. BMC Public Health, 20(1), 565. [https://doi.org/10.1186/s12889-020-08498-8]
  • Yu, H., Ruy, J., Kim, E., Lee, M., Maeng, J., Jang, H., . . . Lee, J. (2017). A study on the regulatory and improvements of alcohol advertising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jong: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Xuan, W., Williams, K., & Peat, J. K. (2020). Health science research: A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s. New York, NY: Taylor & Francis.

<Table 1>

Sample characteristics

Variable Frequency (%) or
Mean (Standard deviation)
Teacher
(n=118)
Student
(n=159)
Notes. a Mean (Standard deviation). b The average score ranged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A higher score represented a greater level of critical thinking regarding media.
Sex
 Male 54 (45.76) 73 (45.91)
 Female 64 (54.24) 86 (54.09)
Age (year)a 41.87 ( 9.99) 16.64 ( 1.00)
School type
 Academic high school 78 (66.10) 106 (66.67)
 Vocational high school 40 (33.90) 53 (33.33)
School location
 Seoul city 48 (40.68) 43 (27.04)
 Mid-sized city 45 (38.14) 116 (72.96)
 Township area 25 (21.19) 0 ( 0.00)
School year
 10th grade - 59 (37.11)
 11th grade - 60 (37.74)
 12th grade - 40 (25.16)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status
 High - 58 (37.91)
 Middle - 81 (52.94)
 Low - 14 ( 9.15)
 Missing - 6
Past-year drinking
 No - 105 (72.41)
 Yes - 40 (27.59)
 Missing - 14
Number of media exposing pro-alcohol messagesa - 3.58 ( 2.11)
Critical thinking regarding mediaa,b - 3.74 ( 0.41)
Total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year)a 14.66 (10.36) -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at the current school (year)a 3.66 ( 5.09) -
Teacher type
 Subject teacher 106 (90.60) -
 Non-subject teacher 6 ( 5.11) -
 Special education teacher 5 ( 4.27) -
 Missing 1 -
Teacher’s education level
 Bachelor’s degree 74 (62.71) -
 Master’s degree or higher 44 (37.29) -

<Table 2>

Provision/Attendance of school-based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Variable Frequency (%) or
Mean (Standard deviation)
Teacher
(n=118)
Student
(n=159)
Notes. AP=alcohol prevention; AML=alcohol media literacy.
a Surveyed from the 48 students who had attended the AP education in the past year. b Surveyed with multiple responses. c Mean (Standard deviation). d Measured with a 4-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satisfied) to 4 (strongly satisfied). A higher score represented greater satisfaction. e Measur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unimportant) to 5 (strongly important). A higher score represented greater importance.
Past-year attendance of the AP education
 No 99 (67.35)
 Yes 48 (32.65)
 Missing 12
Instructor of the AP educationa,b
 Health teacher - 9 (20.45)
 Subject teacher - 9 (20.45)
 School counseling teacher - 2 ( 4.55)
 Instructor from another organization - 27 (61.36)
 Missing 4
Teaching method used in the AP educationa,b
 Lecture - 39 (88.64)
 Campaign - 5 (11.36)
 Video clip - 5 (11.36)
 Missing 4
Class type used in the AP educationa
 Subject class - 6 (14.29)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lass - 35 (83.33)
 Health education class - 1 ( 2.38)
 Missing - 6
Number of the AP education attended in the past yeara,c - 1.5 ( 0.80)
Average time spent for each AP education (minute)a,c - 50.36 (17.54)
Satisfaction level of the AP educationa,c,d - 2.75 ( 0.53)
Awareness of the AML definition
 No 85 (73.91) 145 (95.39)
 Yes 30 (26.09) 7 ( 4.61)
 Missing 3 7
Importance of the AML educationc,e 4.18 ( 0.66) 3.54 ( 0.80)
Lifetime provision/attendance of the AML education
 No 109 (98.20) 119 (96.75)
 Yes 2 ( 1.80) 4 ( 3.25)
 Missing 7 36
Intention to provide/attend the AML education
 No 13 (11.02) 54 (33.96)
 Yes 105 (88.98) 105 (66.04)

<Table 3>

Educational needs for alcohol prevention topics

Topica Mean (Standard deviation) t p-value
Teacher
(n=118)
Student
(n=159)
Notes. a Each topic was measur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very unnecessary) to 5 (very necessary). A higher score represented a greater educational needs.
Development of desirable alcohol-related expectancy 4.17 (0.70) 3.64 (0.82) -5.76 <.001
Effects of alcohol on adolescent health 4.55 (0.56) 4.13 (0.79) -5.10 <.001
Laws and regulations for adolescent alcohol prevention 4.10 (0.76) 3.92 (0.90) -1.85 .066
Social pressure on alcohol use and coping skills to resist it 4.19 (0.72) 3.87 (0.84) -3.27 .001
Alcohol media literacy 4.33 (0.69) 3.73 (0.87) -6.37 <.001
Alcohol-related law and regulation 4.50 (0.65) 4.00 (0.81) -5.52 <.001

<Table 4>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alcohol media literacy(n=159)

Variable B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B SE p-value B SE p-value
Notes. B=u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E=standard error, ref=reference.
a The average score ranged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A higher score represented a greater level of critical thinking regarding media.
Sex (ref. Male)
 Female - 0.09 0.14 .501 - 0.31 0.16 .052
School type (ref. Academic high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 0.14 0.15 .329 0.10 0.18 .564
School year (ref. 10th grade)
 11th grade - 0.11 0.16 .509 - 0.02 0.18 .918
 12th grade - 0.24 0.18 .181 - 0.12 0.20 .551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status (ref. High)
 Middle - 0.31 0.15 .040 - 0.32 0.16 .046
 Low - 0.27 0.26 .296 - 0.35 0.27 .208
Past-year drinking (ref. No)
 Yes - 0.29 0.16 .073 - 0.40 0.19 .040
Number of media exposing pro-alcohol messages 0.04 0.03 .173 0.05 0.04 .141
Past-year attendance of the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ref. No)
 Yes 0.07 0.16 .664 - 0.21 0.17 .239
Awareness of the alcohol media literacy definition (ref. No)
 Yes - 0.13 0.33 .689 - 0.07 0.33 .821
Critical thinking regarding mediaa 0.60 0.16 <.001 0.48 0.18 .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