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Vol. 40, No. 5, pp.81-91
ISSN: 1229-4128 (Print) 2635-53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27 Oct 2023 Revised 19 Dec 2023 Accepted 25 Dec 2023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23.40.5.81

사이버대학 보건행정학과 학생들의 온라인/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경험

황정해* ; 최보람**,
*한양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
**한양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조교수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care Administration at Cyber University
Jeong Hae Hwang* ; Bo Ram Choi**,
*Professor,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Hanyang Cyber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Hanyang Cyber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Bo Ram Choi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Hanyang Cyber University, 220,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04763, Republic of Korea주소: (04763)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0 한양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Tel: +82-2-2290-0316, Fax: +82-2-2290-0601, E-mail: 1220004@hycu.ac.kr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learning experiences associated with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methods. It aimed to identify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to improve adaptation and utilization in the healthcare field.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interviews among the graduating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administration at the H cyber university.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proposed by Giorgi was applied.

Results

In the on-offline blended learning format, students felt a sense of belonging, enhanced focus in learning, feedback, and increased interaction among learners. Above all, it demonstrated that learners’ enthusiasm and engagement led to a clear and satisfying learning experience.

Conclusion

Therefore, an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incorporate the advantages of blended online and offline methods for healthcare-related adult learners. This method enhances learners’ competence through quality learning experiences in the healthcare field and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jor studies.

Keywords:

cyber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xperience, online learning experience, department of healthcare administration, university student

Ⅰ. 서론

COVID-19 팬데믹으로 우리는 일상생활과 사회적 관계 및 경제 생태계의 큰 변화에 직면했다. 초유의 감염병 발생으로 사회적 의료 안전망은 위기를 맞게 되었고 경제적인 빈곤층에 대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렇게 일시에 맞닥뜨려진 현실앞에 4차 산업혁명은 더욱 빠른 속도로 우리에게 다가왔고 사회의 각 영역에서 온ㆍ오프라인의 접근 방식의 도입은 보편화 되었다(Lee & Lee, 2021). 이 중, 보건산업분야에서는 건강관리에 대하여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COVID-19 유행 이후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Oh, 2023).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급격하게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을 맞게 되었는데, 상황의 다급함으로 일반 교육과정에서의 온라인 교육은 교육의 질과 방식, 효과에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발생하였다(Lee, 2021). 그러나 온라인 교육은 약 20년의 역사를 갖는 국내 사이버대학들에서 이미 구현되어 있었고, 혁신적 교육모델로서 미네르바 스쿨과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등이 교육의 질적 수준을 견인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다각도로 변화하고 있다. 즉, 온라인 교육은 COVID-19 유행의 상황이 아니어도 언젠가는 구현될 수 밖에 없는 영역이며, 다만 예상하지 못했던 감염병(COVID-19) 발생 및 유행으로 온라인 교육이 확대된 시기가 좀 더 앞당겨진 것이다(Kim et al., 2021).

온라인 교육 가운데 사이버대학(원격대학과 동일)은 교육의 양적 및 질적 검증을 약 20년간 거쳐 온 비교적 안정적 학습모델을 갖고 있으며, 온ㆍ오프라인 혼합방식을 포함한 전공분야에서의 실기와 실습과정도 갖춘 다양한 학습 방법을 온라인 시스템에서 구현하고 있다. COVID-19 이후 교육부는 일반대학에서도 온라인 수업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고, 2022년에는 원격대학 이외의 일반대학에서도 온라인 학위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승인하였다(Yoon & Yang, 2023). 이처럼 국내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과정의 도입은 보편적 확대를 이루었으며, 성인학습자의 인재양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 온라인 교육은 미래 교육에서 핵심 역량을 계발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플랫폼은 대학 교육의 중심에 자리잡게 되었다(Byoun & Han, 2022).

그러나 온라인 교육은 비대면 학습의 특성상 장점과 단점을 함께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극복하고 반복재생학습이 가능하며, 구성의 효율성 및 다양한 자료의 제시 등 학습효과가 큰 장점이 있는 반면 학습의 질의 편차가 크고 시스템의 질적 상태에 의존적이며, 자기주도 학습의 어려움 및 소통의 부재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Lee, 2020). 따라서 이러한 장ㆍ단점을 보완하며 학습효과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온ㆍ오프라인 혼합 교육방식이 추천된다(Lee, 2020).

특히 보건의료산업은 수요자 중심으로 지속적이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보건의료기술의 혁신은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보건행정학과 졸업생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식의 다양화에 적응해야 함이 필요하다. 이에 온라인 및 온ㆍ오프라인 혼합교육은 보건행정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최신 동향과 기술적 업데이트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학습방법이다. 따라서 보건행정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과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이 갖는 학습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적응 및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졸업 예정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 과정의 참여 동기와 경험의 의미, 그리고 온ㆍ오프라인 혼합 학습경험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탐색하여 양질의 학습경험을 위해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 보건행정학과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교육요구도는 무엇인가?

둘째, 학습의 적극성 및 참여도는 어떠하였는가?

셋째, 온라인과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경험 및 학습성과는 어떠하였는가?

넷째, 학습경험이 학습자 자신의 인생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방법

이 연구는 온라인 및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수행한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이다. 질적 연구는 개인이 경험했던 내용들이 어떤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Han, 2011)으로 어휘나 관찰에 초점을 두고 자료의 해석과 재구성이 가능한(Lee, 2014)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면접 참여자는 자발적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선정기준을 설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첫째, 보건행학과 내 임원 활동 등을 포함하여 학과에서의 온라인 및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실습 및 졸업프로젝트 과목)참여 경험이 있고 둘째, 보건행정학과에서 2년 이상의 학습경험이 있으며 셋째, 의견 개진에 대한 적극성을 가진 대상자이다. H사이버대학 보건행정학과 졸업예정 학생 52명중 참여 의사를 밝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결정한학생들 중 서면 동의를 완료한 총 7명이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 중 대상자의 경험과 의미를 밝히는 현상학적 연구로 현상학 연구에서 요구되는 평균 표집크기로 제시된 6명 이상(Morse, 1994)의 조건을 충족한 수 이다.

연구 시작 전 한양사이버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았다(HYCU-IRB-2022-007-1). 그리고 심층면접을 시작하기 전에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연구의 배경과 목적, 면접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면접 과정중의 모든 내용은 녹취되며 관련 자료는 모두 익명으로 처리됨을 알리고 참여자들의 개인정보와 비밀보장을 포함한 연구윤리를 준수하여 참여자들에게 동의를 획득한 후, 면접 진행 시 녹음을 시작하였다. 심층면접은 총 3번에 걸쳐 2022년 11월 25일∼12월 2일까지 zoom으로 화상면접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1회 진행 시 약 1시간 30분 내외로 소요되었다. 그리고 연구자 2인 모두 진행자로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면접 질문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그대로 자유롭고 솔직하게 말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심층면접이 종료된 후, 소정의 사례비를 지급하였다.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특성은 대부분 직장을 병행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이다. 이 연구에서 참여자는 총 7명이며, 참여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참여자 모두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었으며, 연령은 20대 5명, 30대 1명, 40대 1명이었다. 이 중 5명은 보건의료분야에 재직 중이었고, 2명은 자녀가 있어 육아까지 병행하고 있었다.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3. 조사 내용

심층면접을 진행하기 위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 내용은 <Table 2>와 같다. 인터뷰 시작 전 연구 참여자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위해 연구자는 아래의 질문 내용을 미리 숙지한 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Structure of the questions

4.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을 위해 면담으로 수집한 녹취내용을 축어록으로 작성한 후, 연구자 2인이 내용을 여러 차례 정독하였다. 그리고 의미하는 내용을 찾은 후, 각각의 내용을 서로 비교하는 방식(constant comparison)으로 개념 분류 및 범주화하여 이름을 명명하였다.

Giorgi가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은 참여자의 살아있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Giorgi, 2004; Seo, 2021). 이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즉, Giorgi(1997)가 제시한 현상학 분석 방법 4단계의 절차를 준수하였다. 첫째, 전체적 맥락을 염두하여 축어록 내용을 정독한 후, 둘째, 내용을 의미 단위로 나뉘어, 셋째, 가장 근접한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하여, 넷째, 전환된 의미들을 구조로 통합하였다.

자료 분석은 학생들이 학습의 시작에서 졸업까지의 학습경험 주제 흐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는 학습시작의 동기, 사이버대학의 선택, 학습의 부담 발생, 학습 참여 및 적응을 위한 노력 그리고 학습경험이 나의 인생에 주는 의미로 분류하였으며, 아래의 그림과 같다[Figure 1].

[Figure 1]

The flow of learning experience themes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to graduation)


Ⅲ. 연구결과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학습한 학생들의 온라인 및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경험 탐색에 대한 질적연구이다. 분석결과 최종 도출한 각 주제들에 대하여 참여자가 경험한 상위 구성요소는 <Table 3>와 같다. 상위 구성요소 안에 포함된 하위 구성요소는 상위 구성요소의 결과 요인 및 의미들로 구성되었다.

Major themes and categories in-depth interview

1. 학습 시작의 동기

1) 사회에서 인정받고 싶은 욕구

연구 참여자들 모두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는 학생들이었다. 학습의 시작인 편입학동기에 대한 분석 결과 직업상 지식의 충족 및 직장에서의 적응력 강화, 지인의 추천, 학사학위 취득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직장에서 현재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더 잘하기 위함과 학위 취득의 성취 욕구로 학습을 통해 직장사회에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학습의 동기로 나타났다.

“저는 정신병원에서 물리치료사로 계속 일을 하다가 물리치료하는 대상자가 좀 줄면서 원무팀에 병행하면서 근무를 하게 됐는데요. 원무팀은 제가 하던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그 일을 조금 더 잘하고 싶어서, 이왕 하는 일에서는 잘했으면 좋을 것 같아서요.” (C학생)
2) 나의 성장 잠재력 실행 욕구

연구 참여자들 향후 학사학위 취득을 통한 자기개발, 대학원 진학의 기회, 이직의 기회, 자격증 시험 및 취득 등 강한 외재적 요인들이 학습의 동기로 작용하였다. 현재 모두 직장을 다니는 학생들로 사회생활에서 좁은 취업문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학사학위 취득을 통한 폭넓은 취업의 선택 및 자기개발을 통한 성장 잠재력을 실행하려는 욕구가 학습의 동기로 나타났다.

“저는 전 대학에서 전공도 보건행정 쪽이었고 현재 병원에서 일을 하는데 있어 좀 더 큰 병원으로 이직을 하고 싶었습니다. 알아보니까 4년제 학위가 필요하다고 하더라구요.” (B학생)
“4년제를 졸업을 하고 나서 공부를 하고 싶다고 하면 석사라든 더 다른 기회가 생기니까 시작을 했어요.” (C학생)
“저는 의무기록사를 따서 현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대학병원에 의무기록사로 지원을 하면서 대학교 자격증(학사학위)이 필요하다 해서요.” (E학생).”

2. 사이버대학의 선택

1) 가정-일-학업 병행 가능

참여자들이 학습을 위한 주변 환경을 살펴보면 7명 모두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었으며, 이 중 2명은 자녀가 있어 육아까지 병행하고 있었다. 이들이 사이버대학을 선택한 이유는 지인의 추천도 있었지만 직장 및 자녀양육을 병행해야 하는 이유도 있었다. 즉, 캠퍼스 대학에서의 학습보다 사이버대학의 학습이 무엇보다 시간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가 근무를 하면서 공부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서 사이버대학교를 입학하게 되었어요.” (A학생)
“저는 아이도 키우고 직장도 다녀야했기 때문에 사이버대학을 선택했어요.” (C학생)

3. 학습의 부담 발생

1) 학습에 대한 적극성 감소(온라인 학습)

연구 참여자들 모두 온라인 학습의 장점인 학습시간의 자유로움 때문에 사이버대학에 입학했으나 현실적으로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는 부담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 중 3명의 학생은 주말에 몰아서 학습을 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 학습량 조절을 실패하였으며, 3명의 학생은 학습에 대한 질문이 생겨도 미루거나 하지 않게 되는 경향과 학습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가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에서도 문의하기나 게시판에서 질문을 할 수 있었지만 사실 잘 이용을 안 하게 되는 것 같긴 해요. 질문 거리가 있어도...” (B학생)
“일과 학습의 병행이 그냥 할만할 줄 알고 들어왔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았던 것 같아요. 온라인 학습에서는 학습이 밀려도 출석 마감 기한까지 듣기만 하면 되니까 밀리거나 하루에 듣는 강의 양이 많을 때는 좀 부담스럽긴 하더라구요.” (G학생)
2) 일부 대면학습 및 팀 활동을 위한 시간 부족과 소극적 자세(온ㆍ오프 혼합학습)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1∼2과목(실습 및 졸업프로젝트)의 온ㆍ오프 혼합학습을 경험한 학생이다. 따라서 온ㆍ오프 혼합학습을 시행하는 과목은 일부 대면학습 및 팀 활동과제가 부여되었다. 이에 대해 직장병행으로 지정된 시간 마련의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전체 인원이 참석하지 못하는 즉 참여 학생의 저조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사이버대학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혼자 하는 온라인 학습에 익숙해져서 팀 활동 과제 수행 시 구성원들과의 소통 측면 에서 소극적인 자세가 나타났다.

“대면학습을 한 번쯤 해보니까 너무 좋았고 현장에서 직접 일하는 사람이 오셔서 강의를 해주셔서 좋았는데, 제가 직장을 다니다 보니 시간 맞추기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E학생)
“그 팀을 어떻게 모으지? 막연하게 조원들 이름을 보고 이 사람들하고 어떻게 컨택을 해서 어떻게 조율을 해야 할지, 그 시작이 어려웠어요. 물론 제 스스로도 노력을 했는지에 대해서도 자신은 없지만...” (C학생)

그러나 대면학습을 통해 온라인 학습에서 부족했던 질의 및 응답 시간을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습에 대해 발생한 질문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일부 소극적인 자세가 나타났다. 즉, 학습에 대한 질문이 가능한 창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항상 열려 있으나 이에 대한 활용 여부는 학생들이 학습방법에 대한 자세로 판단된다.

“질문하면 강의 시간이 더 길어질 것 같고... 그런건 좀 있었던 것 같아요.” (F학생)
“아무도 질문 안하는데 제가 하면 민망한 상황이 연출이 되니까...” (G학생)

4. 학습 참여 및 적응을 위한 노력

1) 일상생활에서의 학습계획 재설정

학업의 부담 및 학습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고 일과 학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학습방법 및 시간, 계획을 재설정하여 학습 적응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즉, 온라인 학습의 장점인 시공간의 자유로움을 활용하여 참여자들은 근무시간 이외의 시간 즉, 야간 또는 주말에 학습시간을 설정하는 등 학습 내용을 소화하기 위해 학습시간을 계획적으로 마련하였다.

“과목별로 제가 수료한 과목을 동그라미 쳐서 그 주차에는 지각이나 깜빡하고 놓치는 수업이 없게 끔 체크하는 습관을 가졌어요. 주중에는 회사생활하고 야근도 있다 보니깐 주말에 학습을 몰아서 하는 편이 있어서요. 그래서 주중에 부족한 면을 주말에 충원하였고, 주말에 몰아서 하다보니 놓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메모하면서 놓치는 거 없이 챙겼습니다. 애들을 재우고 나서 밤 10시에서12시까지 해서 최대 2과목 정도 학습합니다.” (D학생)
“가능한 주말로 미루지 않고 주중에 많이 학습을 했습니다. 6시에 일이 끝나면 밥 먹고 8시, 9시, 10시 이렇게 정해놓은 시간에 학습을 끝내는 계획을 세웠어요.” (E학생)
2) 학습의 전략 설계 및 활용

온라인 학습은 정해진 학기 기간 동안 학습영상 재생이 자유롭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반복학습 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어려운 과목의 경우 완전한 이해를 위해 다른 학습자료를 활용하면서 학습에 대한 자신만의 노하우를 설계하였다.

“의학용어가 어려웠던 것 같아요. 외우는 것이 어려워서 이 강의뿐만 아니라 유튜브를 통해 쉽게 외우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찾아봤었고 서적도 찾아보고 많이 노력했어요. 많은 분들이 의학용어를 많이 어려워하시는 것 같더라구요. 쉽게 외우는 방법이라든지 응급실에서 말하는 의학용어의 줄임말이라든지.. 그런 것들을 보면서 많이 배웠던 것 같아요. 어려울 때마다 많이 찾아보았어요.” (A학생)
“반복적으로 강의를 계속 들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교수님 말을 못 들었던게 있으면 뒤로가기를 누르면 다시 볼 수 있어서...” (B힉생)

그리고 온라인 학습에서 교수자의 과목 운영방식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플랫폼 기반 퀴즈학습이 있는 경우, 참여자들은 이를 활용하여 기억에 남는 학습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퀴즈는 처음에는 싫었습니다. 점수가 나와 싫었는데 나중에 보니 퀴즈가 있었던 과목이 좀 더 기억에 남고 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D학생)
“퀴즈를 풀면 그 강의가 한 번 더 기억에 남아서 퀴즈 방법이 좋았습니다.” (E학생)

또한 플랫폼 기반 토론학습이 있는 경우, 토론은 공개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학생들의 의견들을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토론을 통해 다른 학생들의 사례 및 의견들을 공유하면서 스스로 사례들을 더 찾아보고, 다른 학생들의 글을 읽어보면서 의견교환을 촉진하는 등 학습 참여 및 적응을 위한 노력과 적극성이 나타났다.

“보건사업 관련해서 토론하는 과제가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면서 ‘이런 사업도 있구나’ 하는 새로운 경험을 했어요. 다른 학생들 의견도 보면서 학습에 도움이 됐었요. ‘좋아요’도 한번씩 눌러드리고...” (D학생)
“토론이 있는 과목들이 몇 개 있었는데, 전공 수업 중에 토론이 있으면 전공이론들을 다시 복습하면서 ‘내가 경험했던 것들이 이런게 있었구나’ 하고 사례를 찾아보고 하니까 학습에 도움이 됐어요” (G학생)
3) 적극적 팀활동을 위한 노력(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온ㆍ오프 혼합학습(실습 및 졸업프로젝트)에서는 한 가지 이상의 팀 활동 과제가 부여되었다. 참여자들은 원활한 팀 과제 수행을 위해 구성원들끼리의 의사소통과 과제의 할당 및 배분 등 학습참여를 위한 노력을 하였다. 그리고 서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 소통을 하면서 잘못된 부분을 서로 수정하는 적극적인 노력을 보였으며, 자신 없는 부분에 대해 역할 교환 및 협업의 모습을 보였다.

“팀 과제에 대해 처음에는 두려웠는데, 자료를 찾아보고 제가 다양하게 의견을 내니까 조원들도 많은 의견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조원들도 같이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고, 토론하고 조율해서 팀 과제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팀 활동에서 저의 역할이 바뀌었는데요. 조장이 발표를 절대 못하시겠다고 해서 저에게 부탁을 하셨고, 제가 발표를 맡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자료를 찾는 역할을 조원들이 많이 신경써주었고, 저는 발표에 좀 더 신경을 쓰고 용기내서 했습니다.” (D학생)
“저희 조는 구성원이 3명(1명 부족)이었고, 1명이 부족한만큼 나머지 구성원들의 역할이 늘어났어요. 조장의 역할이 발표, ppt제작, 연구계획서 작성에서도 맡은 파트도 있고 팀원들을 통합을 해야되는데 역할이 또 늘어나니까 굉장히 힘들었어요. 하지만 저는 조장이었고, 제 역할인 짐을 조원들에게 주고싶지 않아서 다했어요.”(G학생)
4)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을 통한 학습참여 강화

참여자들은 온ㆍ오프 혼합학습이 있는 1∼2개 과목이 팀 활동과제 및 현장전문가 특강 등 다양한 학습방법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혼합학습에서 참여자들은 본인의 의견을 말하고 싶고, 학습에 대한 집중 강화 및 기억에 확실히 남는 학습이었음이 인식되었다. 혼합학습을 통한 교수의 풍부한 피드백, 교수와 유대감 증진, 학습자들 간의 교류 증가, 대학 및 학과의 소속감 증진 등이 나타났으며, 전문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수업보다 1회 이상의 온ㆍ오프 혼합학습 진행이 소통, 교류 및 학습의 적극성 등이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일부 실습이 있는 과목의 경우 온ㆍ오프 혼합학습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등의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의 모습이 나타났다.

“기억에 남았던 강의가 고령화 사회에 관한 특강이었어요. 고령화랑 지금의 정부 정책에 대해서 말씀 하셨는데... 저는 원래부터 그 분하고 생각이 달랐어요 왜 굳이 고령복지에 그렇게 신경을 써야하는지 저는 사실 잘 모르겠거든요. 그런 부분에 대해 반문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어요.”(F학생)
“통계학이나 조사방법론 과목은 계산문제를 다루는게 많잖아요. 일부 대면으로 진행하면 질문도 가능하고, 문제 유형도 더 많이 풀어볼수 있으니까 (온ㆍ오프)혼합학습이 진행되면 좋겠어요.” (G학생)

5. 사이버대학의 학습경험의 의미

1) 나의 성장을 위한 발돋움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졸업예정자로 사이버대학의 학습이 향후 자신의 계획과 연관된 의미들이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지식함양, 학사학위 취득과 더불어 취업선택의 폭이 확대 및 이로 인한 새로운 진로탐색이 가능 등이다. 이는 참여자들이 학습 시작의 동기로 생각했던 부분들이 학습경험의 의미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비록 사이버대학에서 온라인 학습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일부 온ㆍ오프 혼학학습을 통해 직장생활에도 찾지 못했던 자신의 부족한 점 발견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는 대학에서 학습자들 간의 소통 및 피드백을 통한 자기반성 즉, 대학의 학습만이 가지는 효과가 학습경험의 의미로 나타났다.

“제가 미숙하거나 까먹었던 과목들을 다시 보충해서 지식을 재정비하는 것이 있었구요. 제가 앞으로 다른 직장으로 이직할때 학사학위가 도움이 훨씬 많이 될꺼에요. 학사 이상만 지원해야 되는 곳이 많으니까요.” (G학생)
“저는 노인복지나 노인의료에 대해서 관심이 있었는데 배우면 배울수록 배울 것도 너무 많았고, 보건교육사에 대해서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주변에서 ‘너는 이쪽 길이 맞을 것 같다.’라는 권유도 있었고, ‘아 이쪽 길로 가는 것도 좋겠구나.’라는 판단을 했어요. 그리고 조별과제 때도 오히려 좋았던게 그 분은 군의관이셨는데 거기 통해서 배우는 것도 많고 그래서 오히려 실습하면서 많이 배우고 성장을 많이 했어요. 그래서 진짜 많이 노력했어요.” (A학생)
“제가 발표할 때 ‘어떤 점이 부족하구나’, ‘어떤 것을 좀더 준비해야겠다’ 이런 것을 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어떤 점이 부족한지 모르고 있었는데 굉장히 긴장해서 말을 잘 못한것을 깨달을 수 있었어요.” (E학생)
2) 자신감 및 자존감 향상

학생들이 당장 이직의 계획이 없어도 지식의 함양 및 배움을 통해 현 직장에서 업무 수행 부분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학사학위 취득 예정이므로 해당 직무수행(예> 병원에서 대상자에게 정확한 설명 등)에 대하여 자존감 향상이 나타났다.

“일할 때 환자를 직접 대면하는 일은 아니지만 지금은 원무 일도 같이 하고 있는데 그 부분에서 환자들한테 전화로 콜센터에서 물어보면은 어떤 식으로 수술하는지? 이런걸 물어보거든요? 라섹 수술. 안과에서 일하니까 라섹 수술이 뭔지 이런 걸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그럼 전에 배웠던 거 한 번씩 꺼내가지고 보면은 환자들한테도 이렇게 설명을 해줄 수 도 있고.”(B학생)
“일단은 제 위치에서 제가 제 목소리를 더 크게 낼 수 있어요.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자신감이 조금 더 생기고, 하는 일에 대해 굉장히 자존감이 높아지니까 이게 그른지 옳은지에 대해서 제가 분명하게 얘기할 수 있는 위치가 되는 거 같아요.”(C학생)

Ⅳ. 논의

온라인 학습은 학습참여의 접근성, 복습의 용이성, 온라인체계 소통의 편리성과 더불어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의 장점이 있는 반면, 학습자와 교육자의 상호작용의 제한 등으로 학습효과의 변이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Choi, 2021).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경험을 탐색하여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졸업예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 과정의 참여 동기와 경험의 의미, 그리고 온ㆍ오프라인 혼합 학습경험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20대 후반에서 40세에 이르는 연령의 성인학습자들로 현재 재직 중인 직장에서의 학위취득과 인정욕구를 입학동기로 제시하였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성인학습자는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대학원 진학, 이직 등의 외적 학습 동기를 제시하고 있다(Yun, 2019). 여전히 학위취득이라는 요구가 존재하지만 이제 교육시장이 학위취득 중심의 전통적 대학에서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교육을 받는 체계로의 변화로 옮겨지고 있다. 이에 대표적인 MOOC (Massive Online Open Courses)과 같은 학습체계이며, 이러한 온라인 학습체계가 앞으로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Oh, 2020). 그 이유는 심층면접 분석결과에서 확인했듯이 온라인 교육은 학생들에게 학습시간의 유연성과 편의성을 제공하여 개개인의 학습과 직장에서의 경험을 조화롭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정과 일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사이버대학에서의 온라인 교육은 시ㆍ공간 선택의 자유를 통해 학업의 가능성이 열리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의 이러한 장점들이 학생들 스스로 학업계획을 세우는 등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산업분야가 지속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고려해보면 보건행정을 전공하는 성인학습자들에게는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이 필수적이다. 즉, 보건행정학 전공을 선택한 성인학습자들의 전문성 개발 및 향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기주도 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학습능력 향상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학습은 자발성에 의존적 학습형태로 온라인 참여를 스스로 하지 않는 이상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더욱이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은 스스로의 참여와 노력이라는 부담을 더욱 가중시킨다. 온라인 학습이 갖는 소극적 자세와 온ㆍ오프라인 혼합방식에서 요구되는 팀활동의 시간부족 등은 학습자들에게 가장 큰 어려움으로 호소되었다. 온ㆍ오프라인 혼합방식이 온라인 학습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일 수 있는 반면, 온라인 학습을 선택한 학습참여 동기를 상쇄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yung (2023)의 연구에 의하면, 학습자의 학습준비 상태에 따라 학습방식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성적이 낮은 학습자군에서 이러한 효과는 더 떨어진다고 하였고, 이는 온ㆍ오프라인 혼합교육 훈련이 근로자의 이해도와 학습이 전통방식에 비해 더욱 뛰어나다고 볼 수 없다고 하였다(Myung, 2023).

학습자들이 양질의 학습을 경험하는 것은 중요하다. 양질의 학습은 학습자가 일과 학업의 병행과 일상의 학습 습관을 자신의 삶에 적응시키는 노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최선의 성과를 갖기 위해 학습계획을 수립하고, 자신만의 학습설계와 활용의 노하우를 갖도록하는 것은 온라인 학습의 핵심요소라고 하였다. 온라인 학습에 대한 다수의 질적 연구에서도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하고 이 가운데 높은 학업 수행력을 갖을 때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Jeon, 2020).

사이버대학은 일반대학의 실습 및 대면 교육으로 달성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학습경험을 갖는데 제한적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자기역량 개발과 성장을 이끌어가는데 강력한 학습수단인 것도 사실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학습의 동기를 실현함으로써 만족할만한 학습경험을 갖게 되었으며, 더불어 온ㆍ오프라인 혼합방식(실습 및 졸업프로젝트 과목)을 적용한 교육으로 직장에서도 찾지 못한 자신의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소통과 반성의 피드백을 갖게 되어 유용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즉, 온ㆍ오프라인 혼합방식(실습 및 졸업프로젝트 과목)을 적용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즉, 온라인에서의 이론학습과 현장에서의 실습을 결합하여 학생들에게 현실적이고 적용 가능한 경험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학습자가 졸업한 후에도 즉시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자기효능감이 향상된다. 온ㆍ오프라인 혼합방식의 학습효과를 다룬 연구에서 학습효과가 중재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더불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효과를 함께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정서적, 사회적 학업의 측면에서의 효과를 향상시켰다(Lee & Kim, 2006). 다만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기간, 학습자의 특성 및 준비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정부 및 지자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는 디지털 기반의 생애주기별로 보건사업을 계획하며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는 대상자의 건강욕구 및 수요에 기반하고 있어 대상자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가 이루지고 있다.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 디지털 헬스케어 등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신산업 분야가 증대되고 있고 대상자도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보건의료현장에서는 보건행정학과 전공학생들에게 해당직무를 잘 수행하고 적응하기 위해 전공학습에 대한 경험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참여자인 성인학습자들에게 적용한 온라인 및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시너지 효과와 더불어 현장에서 보건의료분야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잘 수행할 수 있는 자기 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즉, 보건의료분야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에게 보건현장의 사회로부터의 인정욕구를 충족하고,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공학습에 대한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의 장점이 포함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을 제안한다.


Ⅴ. 결론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효과의 변이가 크게 나타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및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이 갖는 학습경험을 탐색하여,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적응 및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에서 대면교육의 장점인 소속감, 교육 및 학습에 대한 집중 강화, 피드백, 학습자들 간의 교류 증가 등의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학습자 자신의 적극성과 수반되어 확실하고 만족스런 학습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장점이 포함된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적용한다면 온라인 학습만 적용하는 것보다 학습효과가 높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만, 이러한 온ㆍ오프라인 혼합학습 방식의 효과는 학습자의 특성, 준비도, 학습콘텐츠와 운영 방식에 의존적이어서, 소수의 학습군에게 적용할 경우에는 높은 학습성과를 볼 수 있겠으나 큰 규모의 학습군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References

  • Byoun, S., & Han, W. (2022). An analysis of Korean college students’ needs for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6(3), 101-116. [https://doi.org/10.46392/kjge.2022.16.3.101]
  • Choi, H. S. (2021). A study on the non-face-to-face teaching experience of college freshmen due to Covid-19.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1), 273-286. [https://doi.org/10.46392/kjge.2021.15.1.273]
  • Giorgi, A.(1997).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8(2), 235-260.
  • Giorgi, A.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ousands Oak, CA: Sage.
  • Han, S. K. (2011). Inquiry for meaning of reconstructing life in mature-aged students’ stud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4(1), 39-70.
  • Jeon, B. (2020).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nsult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1(3), 1375-1386. [https://doi.org/10.22143/HSS21.11.3.98]
  • Kim, R., Jeon, M., Choi, J., Lee, H., Lee, J., Lee, S., . . . Lee, H. (2021). Trend Korea 2022 (Korean, authors’ translation). Seoul; Miraebook.
  • Lee, B. K. (2020). A study on kearners’ response to online college english class as general educ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4), 97-112. [https://doi.org/10.46392/kjge.2020.14.4.97]
  • Lee, E. J. (2014). Adaptation process for balancing work and studies among online learners enrolled in a cyber university.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18, 495-507.
  • Lee, E. S., & Kim, J. K. (2006). The effects of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2), 13-24.
  • Lee, K. S., & Lee, S. M. (2021).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centered around data for overcoming the COVID-19 crisis (Korean, authors’ translation).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ssue Brief, 30, 1-16. Retrieved from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15470.
  • Lee, Y. (2021). Analysis of education inequality using cross-country data and COVID-19 pandemic. Future Growth Studies, 7(1), 111-119.
  • Morse, J. M. (1994) Designing funded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i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220-235). Sage Publications, Inc. Thousand Oaks. 220-235.
  • Myung, J. K. (2023). Analysis of performance on on-offline mixed education and training of degree-linked work-study parallel system focusing on flipped learning.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15(1), 193-192. [https://doi.org/10.14702/JPEE.2023.183]
  • Oh, J. H. (2020). The future hastened by COVID-19: From an era of teaching to an era of learning (Korean, authors’ transl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ssues & Diagnosis, 421, 1-25.
  • Oh, Y. (2023).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the non-face-to-face er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40(4), 21-32. [https://doi.org/10.14367/kjhep.2023.40.4.21]
  • Seo, W. S. (2021).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eople with brain damages: Focusing on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Disability & Social Welfare, 12(2), 1-17.
  • Yoon, J., & Yang, J. M. (2023) A study on the legal policy for fair competition in online university education: Focusing on the discrimination of cyber universities due to the integration of university online education. Hanyang Law Review, 40 (1), 185-211. [https://doi.org/10.18018/HYLR.2023.40.1.185]
  • Yun, H. S. (2019). Learning experience of old adults in cyber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5(1), 21-40. [https://doi.org/10.31748/KSEG.2019.5.1.21]

[Figure 1]

[Figure 1]
The flow of learning experience themes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to graduation)

<Table 1>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nts Sex Age Employment status Field of work Presence of children
A Female 28 Employed Not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No
B Female 26 Employed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No
C Female 40 Employed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Yes
D Male 37 Employed Not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Yes
E Female 26 Employed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No
F Female 23 Employed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No
G Male 25 Employed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s No

<Table 2>

Structure of the questions

Main question Sub questions
Educational needs 1. What motivated you to enroll in a cyber university, which primarily focuses on online education?
2. What learning objectives did you have before taking online courses?
3. What kind of learning did you find necessary for yourself at the cyber university? (Learning and educational needs)
Learning enthusiasm 4. How did you engage in learning activities?
5. What challenges did you face between your work and academic responsibilities?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6. What was your satisfaction level with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 Lecture quality, Lecture materials, Responses to questions, etc.
- For the satisfied learning types or contents, what were the reasons for your satisfaction?
- For the unsatisfied learning types or contents, what were the reasons for your dissatisfaction?
7. What were the outcomes of your experience with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and what we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Learning process, practical knowledge acquisition, Apply in practice, etc.)
8. How was communication and feedback managed in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Learning improvement 9. What improvements can be made for active learning?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10. What do you think is the significance of online learning in the field of healthcare administration?
(Online/On-offline blended learning)

<Table 3>

Major themes and categories in-depth interview

Theme / Category Sub-Category Semantic unit
1. Motivation to start learning Desire for social recognition Satisfaction of knowledge,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Enhanced adaptability at work, Attainment of academic degree
Desire to fulfill my growth potential Self-development, Opportunity for graduate school admission, Job change opportunities, Opportunities for Certification acquisition
2. The choice of a cyber university Balancing family, work, and studies Childcare,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Balancing work and academic studies
3. Feeling burdened by learning Decreased enthusiasm for learning
(Online learning)
Failure to manage study load, passive attitude towards questions
Lack of time and passive attitude for face-to-face class learning and team activities
(On-offline blended learning)
The difficulty in finding designated time due to balancing work and academic studies, Low participation, Passive attitude towards communication, Passive attitude towards questions
4. Efforts for learning participation and adaptation Revising learning plans in daily life Utilizing freedom of time and space in learning design (Weekend learning, night learning)
Designing and utilizing learning strategies Utilizing discussion-based learning, Utilizing quiz-based learning, repetitive learning (replaying instructional videos), utilizing other learning materials
Efforts for active team activities
(On-offline blended learning)
Efforts for team project participation in learning
Enhancing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the on-offline blended learning Rich feedback from professors, Enhanced focus in learning,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Active efforts from learners, Memorable learning experiences
5.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in my life Stepping up for my personal growth Acquiring knowledge, Obtaining an academic degree, Expanding career options, Exploring new career paths, Discovering my areas of improvement
enhancing confidence and self-esteem Increasing self-confidence, Improving self-e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