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Vol. 37, No. 4, pp.59-69
ISSN: 1229-4128 (Print) 2635-53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01 Oct 2020
Received 10 Sep 2020 Accepted 17 Sep 2020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20.37.4.59

감염병 예방과 개인위생교육: 손 씻기 교육을 중심으로

김영복
대구대학교 재활건강증진학과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personal hygiene education: Focusing on the handwashing education
Young-Bok Ki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 Health Promotion, College of Rehabilitaion Science, Daegu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oung-Bok Ki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 Health Promotion, College of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201, Daegudaero, Gyeonsan, Gyeongbuk, 38453, Republic of Korea 주소: (38453) 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Tel: +82-53-850-6093, Fax: +82-53-850-6099, E-mail: healthkyb@daegu.ac.kr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and contents of handwashing by collecting the materials related to that of the KCDC. Through this, it proposed the strategy for implementing education projects on handwashing.

Methods

This study reviewed reports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and the handwashing project of the KCDC, and analyzed the web-based materials of the KCDC on handwashing. Forty-one health promotion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percentage of Korean people practicing handwashing was 81.9%-85.1% in 2019. The types of health promotion materials were stickers, card-news, leaflets, banners, posters, web documents, video, and radio soundtracks. The emphasis of the content was the proper six steps of handwashing, disease prevention, handwashing for more than 30 seconds, and handwashing with soap. The educational strategy to improve the handwashing practice was building an archive of handwashing-related materials, developing the customized content, the diversity of channels, and the activating projects through a multi-level approach.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and activate the organized activities of the community to improve handwashing practices.. Also, the scientific evidence on hand-hygiene shoul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educational projects on various health settings.

Keywords:

infectious disease, personal hygiene, handwashing, health promotion material

Ⅰ. 서론

최근 들어 신종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식중독 등의 발생이 증가하면서 감염병의 대규모 유행 시 지역사회가 대응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감염병 예방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건강증진분야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기본틀에 손 씻기 등의 개인위생실천을 포함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가 감염병 예방관리 분과의 중점과제로 포함되었다(Park et al., 2018). 감염병 예방의 중요한 건강수칙 중 하나가 올바른 손 씻기이며, 현재에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예방하고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기침 예절과 함께 손 씻기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KCDC], 2020).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우리나라 감염병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은 감소했지만,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KCDC, 2020d). 장티푸스, A형간염,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등과 같이 병원성 미생물이나 독성물질에 의해 오염된 물 또는 식품을 섭취하여 설사, 복통, 구토 등을 일으키는 감염병이나 인플루엔자, 감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감염증, 결핵, 홍역, 독감, 수족구병, 식중독 등은 올바른 손 씻기를 통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ang & Zhou, 2007; KCDC, 2020c;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MHW & KAMS], 2016). 특히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의 50~70%, 폐렴, 농가진, 설사병의 40~50%는 올바른 손 씻기를 통해 예방될 수 있다(MHW & KAMS, 2016). 이처럼 감염병은 손 씻기를 통해 전파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세계보건기구도 올바른 손 씻기를 감염병 예방수칙의 기본 실천항목으로 강조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09).

우리나라 국민의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은 지역건강통계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시‧도는 81.0%(2013)에서 85.1%(2019)로 6년간 4.1%가 증가했지만, 시‧군‧구는 81.9%(2013)에서 85.5%(2019)로 3.6%가 증가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MHW & KCDC], 2020). 한편 2013년 손 씻기 실태조사결과에 살펴보면 화장실을 이용한 후 손을 씻는 경우가 71.4%이었고,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씻는 비율은 29.5%이었다(KCDC, 2020c; Lee, 2013). 2019년에 공중화장실 이용자 1,039명의 손 씻기를 직접 관찰한 결과 67%가 손을 씻었고, 43%는 물로만 씻었으며, 22%는 비누를 사용하였으나 30초 미만으로 씻었고, 비누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꼼꼼히 씻은 경우는 2%에 불과하였다(KCDC, 2020c). 손 위생을 위해 비누를 사용하여 꼼꼼히 씻는 올바른 손 씻기가 중요하나, 비누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 씻기를 실천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근 영국 스코틀랜드식품기준청(FSS)에서 16~75세 성인 4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화장실을 이용한 후 항상 손 씻는 경우는 85%이었고, 가정에서 손을 씻을 때 항상 비누 또는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물로 씻는 경우가 29%이었으며, 30초 이상을 씻는 경우가 27%이었다(Food Standard Scotland[FSS], 2020a, 2020b). 이를 우리나라 손 씻기 실천율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올바른 손 씻기 실천수준은 매우 미흡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2013년에 조사된 손 씻기 교육 경험률을 살펴보면 손 씻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성인이 95.2%, 청소년이 93.1%이었으나, 1년에 2회 이상 교육을 받은 경우는 성인이 54.4%, 청소년이 45.4%로 청소년의 교육경험률이 성인보다 낮았다. 교육시간은 성인의 경우 10분 미만(46.6%)이 가장 많았고, 청소년은 10~30분(40.5%)이 가장 많았으며, 성인과 청소년 모두 강의와 시청각자료를 통해 교육내용을 습득하였고, 실제 손 씻기 관련 실습을 수행한 경우는 성인이 8.7%, 청소년이 6.5%에 불과하였다(Lee, 2013).

올바른 손 씻기는 실습 등과 같은 경험중심적 교육방법을 활용할 때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체계적인 개인위생교육을 통해 손 씻기 실천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WHO, 2009). 반면 우리나라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이 손 씻기 실천을 독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전략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 중심의 교육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손 씻기에 관한 심층조사가 수행되어 교육 콘텐츠 및 교육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교육의 효과적인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우리나라 국민의 손 씻기 실천율을 살펴보고, 국가 단위에서 제공하고 있는 손 씻기 교육자료를 수집하여 자료의 유형 및 콘텐츠를 분석하여 손 씻기 교육사업의 수행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감염병 예방 교육사업의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의 손 씻기 실천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건강통계와 질병관리본부의 보고서를 살펴보았고, 국가 단위에서 제작된 손 씻기 관련 자료의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41개의 건강증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손 씻기에 관한 건강증진자료를 검색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및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민건강정보포털에서 ‘손 씻기’를 주제어로 검색하였다(KCDC, 2020c). 질병관리본부의 건강증진자료는 알림‧자료의 홍보자료로 분류되어 있고, 2009년부터 2019년까지 홍보자료로 수록된 총 43개의 관련자료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이 중 교육자료로 분류된 2개의 자료는 2009년에 제작된 워크북(올바른 손씻기 우리함께 배워봐요)과 TV 광고(2009 범국민손씻기운동)이었으나, 2016년부터 활용하고 있는 분류체계와 일치하지 않았다(KCDC, 2020b). 또한 2010년부터 2015년 사이에 제작된 손 씻기 관련자료가 검색되지 않아 제작 시점의 간극이 큰 2009년의 자료 2개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한편 손 씻기와 관련된 교육 및 홍보 관련자료의 명칭과 분류를 살펴보면,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health promotion material’로 명칭하고 홍보, 출판 및 통계, 교육 및 훈련 자료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반면, 질병관리본부는 홍보자료로 명칭하고 카드뉴스, 홍보지, 영상자료, 라디오음원, 교육자료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다. 특히 교육자료에 워크북, 지침, 통계집 등을 함께 수록하고 있는 모호한 분류체계를 활용하고 있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2020a). 이에 본 연구는 손 씻기 관련자료를 교육 및 홍보 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함축할 수 있는 ‘손 씻기 건강증진자료’로 명칭하고, 자료의 유형을 카드뉴스, 스티커, 리플릿, 배너, 포스터, 웹문서, 영상자료, 라디오음원, 교육자료로 세분화하였다. 수집된 건강증진자료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제작년도, 자료유형, 주요 교육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교육의 해외 사례를 검토하여 손 씻기 교육의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의 홈페이지에 수록된 손 씻기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CDC, 2020a, 2020b; FSS, 2020a, 2020b; National Health Service[NHS], 2020).


Ⅲ. 연구결과

1. 우리나라 국민의 손 씻기 실천수준

우리나라 국민의 손 씻기 실천수준은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지역건강통계에 따르면 최근 1주일 동안 외출 후 “항상” 또는 “자주” 손을 씻는 실천율은 시‧도의 경우 2013년에 81.0%. 2015년에 81.4%, 2017년에 84.3%, 2019년에 85.1%로 6년간 4.1%가 증가했지만, 시‧군‧구는 2013년 81.9%, 2015년 82.8%, 2017년 84.1%, 2019년 85.5%로 6년간 3.6%가 증가하였다. 또한 2019년의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에 관한 차이를 살펴보면, 시‧도 내에서는 실천율이 가장 높은 지역(광역시, 90.9%)과 가장 낮은 지역(도, 75.6%)의 차이가 15.3%인 반면, 시‧군‧구 내에서는 실천율이 가장 높은 지역(구, 85.5%)과 가장 낮은 지역(군, 38.9%)의 차이가 58.0%이었다(MHW & KCDC, 2020).

한편 하루 평균 손 씻는 빈도를 살펴보면, 2006년에는 7.6회, 2008년에는 7.1회, 2009년에는 8.5회, 2011년에는 8.0회이었고, 2013년에는 성인이 10.4회, 청소년이 7.5회이었다. 또한 직접 관찰조사를 통해 살펴본 손 씻기 실천수준은 [Figure 1]과 같이 손을 씻을 때 비누를 사용한 경우가 2006년에 30%, 2011년에 33.2%, 2015년에 35.6%로 다소 상승하는 추이를 보인 반면, 손을 씻을 때 21초 이상 손을 씻는 경우가 2006년에 3.9%, 2011년에 5.3%, 2015년에 2.5%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Lee, 2013; MHW & KAMS, 2016).

[Figure 1]

Handwashing practice rate (2006-2015)Source.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2016)

손 씻기의 실천율과 손 씻는 빈도, 올바른 손 씻기 실천을 비교해 볼 때 손 씻기는 자주 수행하나 올바른 손 씻기의 실천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감염병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손 씻기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손 씻기가 요구되는 적절한 시점의 손 씻기 실천율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정에서 손 씻을 때는 화장실을 이용한 후, 음식 준비 전, 식사 전, 아기 돌보기 전, 아기의 배변 처리 후 등이었고, 외출 시 손 씻을 때는 공중화장실을 이용한 후, 귀가 시, 식당에서 식사 전이었다(Lee, 2013). 이는 배변 후, 영아의 배변을 처리한 후, 음식 준비 전, 식사 전, 성관계 전후에 집중적인 손 씻기 실천이 설사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감염병 예방교육 시 강조해야 할 주요 내용임을 알 수 있다(Huang & Zhou, 2007). 반면 최근 들어 손 씻기 실천수준에 관한 심층조사가 수행되지 않아 교육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최신 정보가 부족하므로, 개인위생실천과 관련된 체계적인 건강조사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2. 손 씻기 건강증진자료의 제공 현황

질병관리본부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손 씻기에 관한 건강증진자료는 41개이며, 제작년도에 따라 2016년에 9개, 2017년에 8개, 2018년에 9개, 2019년에 15개이었다. 연도별 교육자료 제작 현황을 살펴보면, 2016년에 9개, 2017년에 8개, 2018년에 9개, 2019년에 15개로 가장 많았다. 건강증진자료의 유형은 스티커, 카드뉴스, 리플릿, 배너, 포스터, 웹문서, 영상자료, 라디오음원이었으며, 포스터와 영상자료가 가장 많았다. 연도별,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2016년에는 카드뉴스와 영상자료 제작이 많았고, 2019년에는 스티커와 포스터 제작이 많았다<Table 1>.

Type and contents of educational materials on handwashing by year

건강증진자료의 내용에는 손 씻기 실천율, 손 씻기를 통한 질병 예방, 손 씻기로 예방 가능한 질환, 손에 남아 있는 잔류 세균, 손을 씻어야 할 때,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 30초 이상 손 씻기,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손 씻기 관련자료 링크사이트, 손 씻은 후 종이타월 사용이 포함되었다. 반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교육의 주요 내용을 지침으로 제공한 사례는 없었고, 국민건강정보포털을 통해 손 씻기 개요, 손을 씻어야 할 때, 올바른 손 씻기 방법, 손 씻기 실천 현황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MHW & KAMS, 2016).

연도별 건강증진자료의 내용을 살펴보면 2016년에는 손 씻기를 통한 질병 예방, 손에 남아 있는 잔류 세균, 30초 이상 손 씻기, 올바른 손 씻기 6단계를 강조한 반면, 2017년부터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를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손 씻기 자료가 가장 많이 제작된 2019년의 내용을 살펴보면,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 올바른 손 씻기 6단계를 가장 강조하였고, 다음이 손 씻기를 통한 질병 예방의 중요성, 30초 이상 손 씻기이었다. 또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강조한 내용은 올바른 손 씻기 6단계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손 씻기를 통한 질병 예방, 30초 이상 손 씻기,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 순이었다.

3. 손 씻기 교육 콘텐츠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의 손 씻기 건강증진자료에서 강조하고 있는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 30초 이상 손 씻기, 올바른 손 씻기 6단계는 해외의 손 씻기 교육 사례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내용이다. 올바른 손 씻기는 손 씻는 시기, 손 씻기 방법 등을 강조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 간에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손 씻기 자료는 손 씻기의 중요성, 손에 남아 있는 잔류 세균, 손을 씻어야 할 때, 손 씻기 방법, 손 세정제 사용, 손 씻기에 관한 과학적 근거, 가정에서 손 씻기 실천, 주방에서의 손 씻기 실천, 손 씻기를 통한 건강 이익, 손 씻기 교육 전략, 올바른 손 씻기 5단계 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손 세정제의 선정 및 사용방법, 주의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CDC, 2020a, 2020b). 또한 영국 국가보건서비스는 손을 씻어야 할 때, 손 씻기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NHS, 2020).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의 자료에서 공통으로 강조하고 있는 손을 씻어야 할 때는 식사 전, 음식 준비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코를 푼 후, 재채기 및 기침 후, 상처를 치료하기 전후, 반려동물을 만진 후 등이며, 우리나라와 미국의 자료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은 쓰레기를 처리한 후, 아기의 용변을 처리한 후이고, 우리나라만 차별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내용은 놀이 후, 그림을 그린 후, 돈을 만진 후 등이다.

올바른 손 씻기 교육 내용은 물과 비누의 사용, 손 씻기 시간, 손 씻기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흐르는 물에 비누를 사용하여 30초간 손 문지르기를 실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최소 20초간, 영국은 약 20초간 손 문지르기 실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올바른 손 씻기를 손 문지르기 방법을 중심으로 6단계로 제시하고 있으나, 미국과 영국은 물과 비누 사용, 손 문지르기 방법, 손 씻은 후 건조방법, 타월을 활용한 사후처리까지 포함하여 손 씻기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Table 2, 3>. 미국은 손 씻기 단계를 5단계로 간소화하여 표현한 반면, 영국은 11단계로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When should to wash hands

The handwashing time and steps of proper handwashing

4. 손 씻기 및 손 위생 증진사업의 수행 전략

손 씻기 교육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 실천이 중요하다. 손을 씻어야 하는 적절한 시기를 판단해야 하고, 정확한 손 씻기 단계를 수행하여 질병 예방 효과를 높여 나가야 한다. 아동들이 손 씻기 교육에 참여할 경우 인지적, 동적, 의사소통, 개인적-사회적 능력, 적응능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DC, 2020a). 반면 손 씻기 교육을 위한 별도의 지침은 마련되어 있지 못하며, 세계보건기구가 보건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손 위생 증진사업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WHO, 2009).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세계보건기구의 권고안에 기초하여 보건의료기관에서의 손 위생 증진 지침을 수립하였으나, 우리나라는 감염병관리사업 지침에 개인위생사업으로 손 씻기 및 기침예절 사업을 포함하고 있을 뿐 별도의 지침을 권고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인 사업내용으로 손 씻기 및 기침예절 홍보물 제작 및 배포, 다각적인 채널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손 씻기 캠페인 실시,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 연계를 통한 손 씻기 교육‧홍보 강화 등이다. 홍보물 배포 전략으로 공공기관, 보건소 중심의 홍보물 배포, 세계 손 씻기의 날 행사, 올바른 손 씻기에 관한 디지털 캠페인 실시 등을 제안하고 있다(KCDC, 2019).

한편 세계보건기구는 손 씻기를 포함한 손 위생 증진사업을 추진할 때 첫째,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시스템의 변화, 둘째, 손 씻기(handwashing) 및 손 문지르기(handrubbing)를 포함한 손 위생 교육에 관한 정규 훈련 프로그램 제공, 셋째, 손 위생 실천과 인프라에 관한 모니터링 및 평가 결과에 관한 피드백, 넷째, 생활터중심의 손 위생에 관한 중요성 강조, 다섯째, 조직 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환경 조성 및 관련조직과의 파트너십 형성을 권고하였다. 이와 함께 보건의료기관에서의 손 위생 증진을 위한 교육적 전략으로 손 위생 실천을 위한 시스템의 변화, 손 위생 교육, 피부 건강 관리, 정기적인 관찰과 피드백, 손 씻기 재안내, 조직 내 안전한 분위기 조정, 다양한 전략의 통합적 활용을 권장하였다(WHO, 2009).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도 보건의료기관 중심의 손 위생 증진사업을 위한 권고안을 제시하기 위해 손 위생 실천을 방해하는 위험요인 관찰, 자가보고 요인, 손 위생의 적절한 실천한 방해하는 인지적 요인을 분석하였고, 의료기관 내에서의 손 위생 증진을 위한 성공적인 전략으로 교육, 정기 관찰과 피드백, 기구 등의 기술적 관리, 손 씻기 재안내, 행정적 보상 또는 제재, 피부 건강 관리, 개인적/조직적 수준에서의 적극적인 참여, 안전한 조직문화 조성, 개인적/조직적 자아효능감 증진, 과도한 업무수행 지양, 다양한 전략의 통합적 활용을 권고하였다. 또한 손 위생 교육 및 증진을 위한 향후 연구과제로 활동 유형에 따른 교육 제공, 손 위생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 손 위생 행동에 관한 인구 기반의 교육 효과 연구, 위생장갑 사용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손 청결에 관한 근거 기반의 지표 설정, 다른 인구집단 간의 손 위생 행동 및 증진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손 위생 관리 방안 개발, 손 위생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제안하였다(CDC, 2002).


Ⅳ. 논의

감염병 유행 시 인구 집단에게 공신력있는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기 위한 체계적으로 교육적 접근방안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신종인플루엔자, 에이즈 등을 예방하고 감염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교육자료가 대상자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 환자보호자, 의료인, 일반 국민으로 구분하여 개발된 반면 손 씻기 교육자료는 대국민 건강수칙으로 생활터별 상황에 따른 손 씻기 실천에 관한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CDC, 2020a; Kim, Kim, & Kim, 2012).

손 씻기 교육은 대국민 건강수칙으로 일관된 메시지 제공이 중요하므로, 교육 내용이 체계적으로 구성한 후 상황별 사례중심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용어의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손 위생(hand hygiene)을 ‘손을 깨끗이 하는 모든 행동과 관련된 일반적인 용어’로 제안하였고, 손 위생 실천에 손 문지르기, 손 씻기, 손 청결, 손 소독 등을 포함하였다. 손 씻기(handwashing)는 ‘일반 또는 항균 비누와 물로 손을 씻는 행동’이며, 손 청결(hand cleansing)은 ‘먼지, 유기물 또는 미생물을 물리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제거할 목적으로 손 위생을 수행하는 행동’을 의미한다(Lee, 2013; WHO, 2009).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건강증진자료에서 손 위생 관련 용어를 구별하여 활용하고, 자료의 분류체계를 재정비하여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자료 활용이 될 수 있도록 체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반면 2013년부터 지역사회 건강조사에 도입된 손 씻기 설문항목을 보완하여 필수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손 씻기와 관련된 지표가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 1개로 제한되어 있어 손 씻기와 관련된 실천빈도, 방법, 시점, 교육요구도, 교육경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생활터를 중심으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손 씻기 실천수준과 관련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면 향후 지역사회 및 가정 중심의 손 씻기 교육을 포함한 개인위생 교육사업을 추진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터별, 상황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핵심 내용에 관한 합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손 씻기에 관한 심층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콘텐츠 개발의 과학적 근거가 미흡하고,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한 손 씻기와 질병 발생 간의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손 씻기 실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인지적 변화과정을 통해 손 씻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손 씻기를 생활화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함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손만 잘 씻어도 설사질환 30%, 감기,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질환 20%를 예방할 수 있다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질병관리본부의 건강증진자료에 관한 공신력을 높일 수 있다(KCDC, 2020b).

영국 스코틀랜드식품기준청은 정기적으로 손 씻기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여 자료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조사항목은 가정에서 손을 씻을 때 항상 비누 또는 손 세정제 사용, 손 씻기 권고 시간 준수, 손을 씻어야 할 시점에서의 적절한 손 씻기 실천, 공공장소별 손 씻기 실천의 장애요인 등이다. 이러한 조사결과 21%가 권고된 20초 보다 짧은 시간동안 손을 씻었으며, 27%가 30초 이상을 손을 씻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손을 씻을 때는 쓰레기를 만진 후(75%), 음식을 조리하거나 준비하기 전(67%), 외출 후 귀가했을 때(59%), 식사 전(44%), 동물과 접촉 한 후(40%)인 것으로 나타났다(FSS, 2020a, 2020b). 이는 손 씻기 권고시간의 준수율을 높이고, 가정에서의 손 씻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을 개발하는데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 콘텐츠는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간결하고, 일관성있게 제시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손 씻기 교육자료는 포괄적이거나 단순한 내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손 씻는 방법과 비누 및 손 세정제 사용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이고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비누와 손 세정제의 사용방법에서 손 씻기의 건강 이익, 손 씻기 후 건조방법, 손 세정제를 사용해야 할 때, 선택기준(알코올 60% 이상 함유) 및 사용법, 주의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손 세정제는 손에 듬뿍 바른 후 손이 마를 때까지 약 20초간 문지르도록 권고하고,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씻은 경우 타월이나 공기건조기를 이용하여 손을 건조시키도록 권고하고 있다(CDC, 2020a). 이러한 이유로 향후 손 씻기 교육 내용을 개발할 때는 손 씻기 실천이 행동요령을 포함한 건강수칙이므로 정확하고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일관성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손 씻기에 관한 건강증진자료의 유형은 카드뉴스, 홍보지, 영상자료, 라디오음원, 교육자료이며, 이 중 동영상과 포스터가 가장 많이 제작되었다. 반면 동영상은 활용능력에 따라 접근성의 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에 컴퓨터 활용능력이 부족한 노인, 장애인, 언어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등을 위해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맞춤형 리플릿 등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포스터와 스티커는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되어 있고, 특정 장소 또는 위치에 부착되지 못할 경우 관심을 끌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 콘텐츠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정보가 노출되는 장소, 부착되는 위치를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고, 건강증진자료의 확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공적, 사적 채널을 다양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주민 조직을 활용하거나 사이버의 관심공동체인 커뮤니티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처럼 과학적 근거 생성, 교육 콘텐츠의 개발, 자료의 유형과 제공 채널의 다양화를 통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교육을 활성화시켜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손 씻기 실천을 독려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행 전략으로 첫째, 손 씻기 관련 자료에 관한 아카이브 구축, 둘째, 맞춤형 교육 콘텐츠의 개발, 셋째, 건강증진자료 제공 채널의 다양화, 넷째, 손 씻기 교육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 수준적 접근방안 모색, 다섯째, 개인위생 전문 인력의 양성, 여섯째, 손 씻기 모니터링 및 피드백, 일곱째, 손 씻기를 포함한 개인위생사업의 효과 평가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카이브 구축은 손 씻기 관련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통합적으로 관련정보를 제공하여 관련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건강정보이해력(health literacy)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 또한 지속적인 손 씻기 실천을 독려하기 위해 교육 참여자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 내용에 관한 정보이해력과 건강기술 활용능력을 높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 Q & A에 기반한 대화식 구성, 개인의 경험 공유, VR 연동의 체험중심 교육, 모바일 러닝(m-learning) 등의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손 씻기, 마스크 착용과 같은 개인중심의 건강생활실천은 상황에 따른 선택과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공감할 수 있는 상황들을 가상체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VR 연동 소프웨어교육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상황에 따른 올바른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어 개인위생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이 된다(Seo, Park, & Cho, 2020).

한편 건강증진자료 제공 채널을 다양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손 씻기에 관한 건강증진자료를 버튼과 배지, 인쇄자료(포스터, 팩트 시트, 뉴스레터), 팟케스트(라디오음원), 소셜미디어 자료(포스트, 그래픽), 웹 배너, 스티커, 영상자료 등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자료는 학교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활동의 지침, 워크북, 도구 등의 자료를 교육 및 훈련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미디어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포스팅을 위한 자료와 그래픽이 제공되고 있고, 포스터는 애니메이션기법을 활용한 동적 자료를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다(CDC, 2020a). 자료 유형과 제공 채널의 다양화하는 정보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된다.

또한 손 씻기 교육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 수준적인 접근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개인수준에서 손 씻기를 포함한 손 위생 실천을 위한 지식 습득 및 행동 변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개인 간 수준에서는 동료 간 네트워크 구축,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손 씻기 실천을 독려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조직수준에서는 학교, 직장, 의료기관 내에서 상황별 손 씻기 실천을 위한 교육 수행, 지침 마련, 평가 지표 개발, 평가 결과의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주민의 손 씻기 및 손 위생 실천을 독려하기 조직화된 활동, 모니터링, 지역사회의 인프라 구축이 수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 수준에서는 지속적인 손 씻기 실천수준에 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 손 위생 및 개인위생 교육을 위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와 함께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과 ICT를 활용한 교육 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손 위생 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행정안전부가 국민안전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를 양성하고 있다. 안전교육 중 감염안전 교육은 보건교육사를 포함한 국가자격(면허)자격증을 취득한 전문 인력을 강사로 활동하도록 규정하고 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감염병 예방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가 협력하여 개인위생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활용하는 것은 감염병 예방사업 및 개인위생 교육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된다. 정기적인 교육 수행과 평가, 부문 간의 협력,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 사업의 효과 평가를 통해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업 수행을 위한 다 수준적 접근방안을 모색하여 수준별 목표에 따른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모색하여 활용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교육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개인위생의 범위를 손 씻기로 제한하여 실천수준과 건강증진자료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개인 위생실천 중 손 씻기 실천에 국한하여 교육 특성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개인위생 교육 전반에 관한 교육 특성을 살펴보지 못하였고, 둘째, 공신력있는 자료를 수집하고자 자료출처를 질병관리본부 및 국민건강정보포털로 제한하여 자료 수집의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셋째, ‘손 씻기’를 주제어로 건강증진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코로나19(COVID-19) 예방수칙 등과 같이 질환 중심의 예방수칙에 포함된 손 씻기 내용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넷째, 손 위생은 손 씻기를 포함한 광의적 의미를 갖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건강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검색 주제어를 ‘손 씻기’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환경적, 기술적 요인을 포함한 자료들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Ⅴ. 결론

감염병 유행 시 감염병의 전파을 막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지침이 개발되어 있으나, 위급한 상황에서는 신속한 정보 전달과 건강정보이해능력, 습관화된 건강수칙의 실천이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교육 중 손 씻기 교육은 소화기 및 식품매개 감염병, 호흡기 감염병 등을 예방하고, 전파를 차단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손 씻기를 포함한 개인위생관리에 관한 다양한 접근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씻기 교육사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손 씻기에 관한 건강증진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여 손 씻기 교육사업의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고자 국내외 관련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손 씻기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행 전략으로 손 씻기 관련 자료에 관한 아카이브 구축, 맞춤형 교육 콘텐츠의 개발, 건강증진자료 제공 채널의 다양화, 손 씻기 교육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 수준적 접근방안 모색, 개인위생 전문 인력의 양성, 손 씻기 모니터링 및 피드백, 손 씻기를 포함한 개인위생사업의 효과 평가를 제안하였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를 포함한 개인위생 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의 조직화된 활동과 적극적인 정책 수립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적 근거 생성을 위한 손 위생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생활터별 맞춤형 교육사업이 진행되기 위한 건강정보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예측하지 못한 감염병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고, 감염병의 지속적인 유행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기에 감염병의 전파와 발생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손 씻기와 같은 건강수칙은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행동이 된다. 따라서 손 씻기 실천수준을 함양시키기 위한 손 씻기 및 개인위생 교육은 개인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할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필수사업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은 감염병 유행 시 필요한 대응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개인위생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지역사회는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국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자원 확보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학년도 대구대학교 연구년 결과물로 제출됨

References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a). Handwashing: Clean Hands Save Live. Retrieved from https//www.cdc.gov/handwashing/index.html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b).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Retrieved from 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prevent-getting-sick/prevention.html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Retrieved from https://www.cdc.gov/mmwr/PDF/rr/rr5116.pdf
  • Food Standard Scotland. (2020a). Food Standards Scotland reminds people in Scotland of the importance of handwashing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Retrieved from https//www.foodstandards.gov.scot/news-and-alerts/food-standards-scotland-reminds-people-in-scotland-of-the-importance-of-handwashing-to-prevent-foodborne-illness
  • Food Standard Scotland. (2020b). Handwashing Consumer Tracker. Retrieved from https://www.foodstandards.gov.scot/downloads/FSS_Handwashing_Tracker_-_July_2020%2C_Scottish_results_slides_-_FOR_PUBLISHING.pdf
  • Huang, D. B., & Zhou, J. (2007). Effect of intensive handwashing in the prevention of diarrhoeal illness among patients with AID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56(5), 659-663. [https://doi.org/10.1099/jmm.0.46867-0]
  • Kim, Y., Kim, H., & Kim, M. (2012).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efficienc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2), 71-81.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a). COVID-19 prevention guidelines. Retrieved from http://ncov.mohw.go.kr/infoBoardView.do?brdId=3&brdGubun=32&dataGubun=&ncvContSeq=586&contSeq=586&board_id=&gubun=#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b). Health education material. Retrieved from 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20503030400&bid=0016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c). Health promotion material. Retrieved from http://www.cdc.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3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d).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yearbook, 2019. Retrieved from 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PblctDtaView.do?pblctDtaSeAt=1&pblctDtaSn=2139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9). 2020 Guideline for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programs. Retrieved from http://www.cdc.go.kr/npt/biz/npp/nppMain.do
  • Lee, M. S. (2013). A study on th deveolopment of handwashing promotion strategy and handwashing survey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Konyang University an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2016).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Handwashi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Retrieved from http://health.cdc.go.kr/health/TotalSearch/Search.do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20). 2008-2019 Community health survey. Retrieved from https://chs.cdc.go.kr/chs/main.do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Standards for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 safety training personne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gulatory 2019-26. Retrieved from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6&nttId=72030
  • National Health Service. (2020). How to wash your hands. Retrieved from https://www.nhs.uk/live-well/healthy-body/best-way-to-wash-your-hands/?tabname=head
  • Park, S., Kim, C., Rou, D., Sin, M., Lee, Y., Lee, J., Hong, J., Hwang, S., Hwang, J. (2018). Direction of the fifth National Heath Promotion Pl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Daegu Catholic University.
  • Seo, H., Park, Y., & Cho, Y. (2020). Realization of VR-linked “Wearing a Mask” SW training to recognize the effect of wearing a mask due to the spread of new infectious diseas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Conference, 28(2), 625-628.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WHO guideline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Geneva: WHO Press. Retrieved from https://www.who.int/infection-prevention/publications/hand-hygiene-2009/en/

[Figure 1]

[Figure 1]
Handwashing practice rate (2006-2015)Source.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2016)

<Table 1>

Type and contents of educational materials on handwashing by year

Classification 2016 2017 2018 2019 Total
Type Sticker 1 1 - 3 5
Card-news 2 1 1 - 4
Leaflet - 2 - - 2
Banner - 1 - - 1
Poster - 1 5 8 14
Web document 1 - - - 1
Video 5 2 2 3 12
Radio sound track - - 1 1 2
Total 9 8 9 15 41
Contents Practice rate 2 - - 4 6
Disease prevention 8 6 3 9 26
Diseases related to handwashing 2 3 2 6 13
Germs left on hand 4 4 2 5 15
When to wash hands 2 3 - 6 11
Handwashing with soap 1 6 5 11 23
Handwashing time (30sec.&plus) 5 7 5 9 26
6 steps to wash hands 7 8 5 11 31
Using tissue after handwashing 1 - - 3 4
Handwashing related materials - - 1 3 4
Total 32 37 23 67 159

<Table 2>

When should to wash hand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National Health Service (NHS)
• Before, during, and after preparing food
• Before eating food
• After using the toilet
• After playing at playground
• After drawing
• Before and after caring for someone who is sick
• Before and after treating a cut or wound
• After coming back home
• After touching money
• After handling pet food or pet treats
• After blowing your nose
• After coughing
• After sneezing
• After touching garbage
• After changing diapers, or cleaning up a child who has used the bathroom
• Before, during, and after preparing food
• Before eating food
• Before and after caring for someone who is sick with vomiting or diarrhea
• Before and after treating a cut or wound
• After using the toilet
• After changing diapers, or cleaning up a child who has used the bathroom
• After touching an animal, animal feed, or animal waste
• After handling pet food or pet treats
• After touching garbage
• If your hands are visibly dirty or greasy
• After blowing your nose, coughing, or sneezing
• after using the toilet or changing a nappy
• before and after handling raw foods like meat and vegetables
• before eating or handling food
• after blowing your nose, sneezing or coughing
• before and after treating a cut or wound
• after touching animals, including pets, their food and after cleaning their cages

<Table 3>

The handwashing time and steps of proper handwashing

Classifica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National Health Service (NHS)
Hand
washing
time
Wash your hands with soap and
running water for at least 30 seconds
Scrub your hands for at least 20
seconds
Wash your hands for around 20
seconds
Steps 1. Rub your palms.
2. Rub the back and the palm of your hand.
3. Put your palms together and rub between the fingers.
4. Rub your fingers inter locked.
5. Rub your thumb while turning it into the other palm.
6. Put your fingers on the opposite palm and rub it clean under the nails.
1. Wet your hands with clean, running water (warm or cold), turn off the tap, and apply soap.
2. Lather your hands by rubbing them together with the soap.
Lather the backs of your hands, between your fingers, and under your nails.
3. Scrub your hands for at least 20 seconds.
4. Rinse your hands well under clean, running water.
5. Dry your hands using a clean towel or air dry them.
1. Wet your hands with water.
2. Apply enough soap to cover your hands.
3. Rub your hands together.
4. Use 1 hand to rub the back of the other hand and clean in between the fingers. Do the same with the other hand.
5. Rub your hands together and clean in between your fingers.
6. Rub the back of your fingers against your palms.
7. Rub your thumb using your other hand. Do the same with the other thumb.
8. Rub the tips of your fingers on the palm of your other hand. Do the same with other hand.
9. Rinse your hands with water.
10. Dry your hands completely with a disposable towel.
11. Use the disposable towel to turn off the tap.